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스페셜
"
이용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중증 코로나19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인터페론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고려할 수 있게 됐다”며 “현재 세포를
이용
해 후보약물을 검색하고 발견하는 방법을 개발중”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와 신 교수는 “코로나19 환자의 면역세포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상세히 연구해 향후 치료 전략을 설계할 수 있는 토대를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심재훈·김경훈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앞으로도 금융 뿐만 아니라 물류와 자동화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을
이용
한 차별화된 기술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과학창의재단 직원 19명 무더기 징계 및 주의조치…안 이사장 사표수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7.12
대표적 처분 사례를 살펴보면 A 책임연구원은 사익추구를 위해 근무지 무단이탈, 직위를
이용
한 인사권 남용 등 업무방해, 노조활동 모니터링 등 사용자의 권한 남용, 겸직 미승인 및 영리업무 금지 의무위반, 연구개발심의위원회 규정을 위반해 평가위원을 지인으로 부당 위촉, 법인카드 사적 ... ...
[표지로 읽는 과학]박쥐는 머릿 속 이미지로 길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2
것이다. 여기에 지름길을 활용하는 것도 밝혀졌다. 머릿속 인지 지도를
이용
해 이전에
이용
한 경로가 아닌 더욱 빠른 길을 찾아내 이동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지 지도가 어떻게 갖춰지는지 보려면 새끼의 이동 동선을 파악해야 하지만 4g으로 줄인 GPS 장치도 새끼에게는 너무 무거웠다. 요벨 ... ...
"국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 12건 진행…5건 심사 중"
연합뉴스
l
2020.07.12
효과를 확인하는 약물 재창출 시험이다. 크리스탈지노믹스와 대웅제약은 카모스타트를
이용
해 각각 'CG-CAM20'과 'DWJ1248정'을 개발하고 있다. 카모스타트는 만성 췌장염 및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세포 단계 시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했고, 감염된 마우스(쥐) ... ...
[표지로 읽는 과학]여러달 걸릴 실험 며칠 만에 끝내는 '로봇 화학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11
수소를 얻는 과정에 사용되는 유기물 광촉매의 효율을 개선하는 연구에 이 로봇을
이용
했다. 로봇은 초등학교 교실 만한 실험실 안에서 혼자 8개의 실험대를 누비며 8일 동안 688차례의 실험을 자동으로 수행해 처음 화학실보다 수소를 만드는 능력이 6배 이상 뛰어난 새로운 구조의 유기물 광촉매를 ... ...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
과학동아
l
2020.07.11
백신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까다로운 과정을 거친다. 개발 초기 실험동물을
이용
한 실험에서 안전성을 확보한 뒤, 인체를 대상으로 세 차례의 임상시험을 수행한다.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백신 개발이 긴급한 경우 등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면, 이 모든 단계를 통과해야만 비로소 백신을 ... ...
코로나19 위험국 입국자 PCR 음성 확인서 제출 의무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재개하도록 했다. 다만 고위험자인 노인이
이용
하는 경로당 등 노인여가복지시설은
이용
자 수를 최소화하고 방역지침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했다. 이를 무더위 쉼터로 운영할 때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운영하도록 했다 ... ...
어린이 코로나19 중증 적은 이유는…폐 생리·면역기능 차이
연합뉴스
l
2020.07.10
억제한다. 어른들에게는 초염증상태가 나타나곤 하는데 어린이는 그렇지 않다"며 "쥐를
이용
한 전임상 연구에서 IL-10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 ...
눈에 착용했더니 "당신의 스트레스는 20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를 개발했다. 탄소 원자가 2차원 평면으로 배열된 소재인 그래핀을
이용
해 투명하면서도 잘 휘어지고 무선통신이 가능한 센서를 만들었다. 그래핀 표면에 코티졸이 결합하면 트랜지스터 구조로 이뤄진 센서가 눈물 속 농도에 따른 그래핀의 미세한 저항 변화를 읽어내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