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스페셜
"
발전
"(으)로 총 2,2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투자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정봉형 센터장이 말하는 ‘나노과학’
발전
방향 ① 나노기술은 기반기술. 산업전반에 응용 가능한 만큼 지속적 지원 이뤄져야. ② 출연연 나노기술 활성화를 위해선 융복합 연구 지원이 관건 ③ 생명과학분야 나노기술 연구 비율을 늘려야 ※ 이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토대로 반도체소자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러한 기반 위에서 현재의 반도체 기술이
발전
할 수 있었다. 그런데 반도체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내부 구조가 수십 나노미터 수준이하로 아주 미세해지면서 입자의 특징과 파동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양자적 수준으로 구조가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발명된 이후 반도체는 지속적인
발전
을 거듭했다. 다른 어느 분야의 기술보다도 빠른 진보를 보인 반도체 분야의 혁신은 ‘무어의 법칙’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오랜 기간 꾸준히 계속됐다. ‘무어의 법칙’이란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주창한 것으로 ‘반도체의 트랜지스터 ... ...
반도체를 알면 전자제품이 보인다.
KAIST
l
2013.04.30
목적은 부품을 관련된 부분끼리 모아서 전자제품을 작게 만들려는 것이었지만, 기술이
발전
하면서 전자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집적회로는 등장하자마자 전자공학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소형화와 고성능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집적회로로 잡을 수 있게 되자 여러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원자력안전위원회의 확실한 운영이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소의 폭발과 최근 국내 원전의 고장과 위조부품 사용 등으로 원자력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커진 상태다. 2011년 대통령 직속 상설기구로 출범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런 국민들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연구소나 생명연에서 임상의 출신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과거 과학기술
발전
을 위해 연구소에 몸담은 과학자에게 군 면제 권한을 준 것처럼, 기초연구를 하는 임상의에게 군 복무 대체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임상의들이 의료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바이오 분야의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않았던 것이다. 퀄컴은 CDMA를 지역 통신망에서 확장하여 전국 단위의 통신망으로
발전
시키려 하고 있었다. CDMA 기술은 이원웅 박사의 시선을 확 잡아끌었다. 일반 이동통신에 CDMA 기술을 적용한다는 것이 어딘가 불안해 보이기도 했지만 성공만 한다면 GSM 진영과 분명한 자별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임상에서 약효가 기대에 못 미쳐 탈락하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최근 생명과학의 눈부신
발전
으로 많은 질병의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아까운 탈락자들 가운데서 ‘흙속의 진주’를 발견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문득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는 적재적소를 찾지 못해 인정받지 못하고 묻히는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캡슐까지 먹을 필요가 있는가 하겠지만, 지난 10여 년 동안 장내미생물 연구의 눈부신
발전
을 죽 모니터해온 필자로서는, 아직은 초보적인 형태이지만, 그래도 프로바이오틱스를 정기적으로 복용하는 게 좋겠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각종 대사 질환에 관여 ‘네이처’와 ‘사이언스’에는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시기가 늦어질수록 성공 가능성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감축 기술의
발전
정도나 에너지 수요의 변동 폭에 따른 성공 가능성의 편차는 정책 실시 여부에 따른 편차보다 적었다. 온실가스 배출 급증이 유발하는 기후변동으로 인한 파국을 막기 위해 지난 15년 동안 진행해온 1차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