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아닌 이동형 탐사선을 보낸 것은 달탐사 이후 처음이었다. 1997년 10월 7일 착륙선의 신호가 끊어질 때까지 패스파인더는 1만 6천장의 사진과 토양분석자료, 대기관측자료를 지구로 보내왔다. 앞으로 NASA는 2년에 한번씩 탐사선을 화성에 보낼 예정이다.9. 21세기는 국제협럭의 시대 국제우주정거장지난 ... ...
- 지구 위의 몰래카메라 첩보위성과학동아 l1998년 09호
- 밀스타(Milstar)로 대표된다. 밀스타는 DSCS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육·해·공군 사이의 상호 통신을 제공한다. 이것은 원자폭탄이나 에너지무기(레이저)의 공격에서 발생하는 복사선에도 끄떡없을 만큼 단단하게 설계돼 있다.러시아는 10여기의 군사통신위성(정지궤도의 라두가위성과 포토크위성, ... ...
- 바위 먹는 미생물 발견과학동아 l1998년 09호
- 밝혀지지 않은 이 미생물은 오레곤대학의 마틴 피스크 박사팀이 심해잠수정인 앨빈호를 타고 해저 1-2km를 조사하던 중 발견했다. 놀라운 것은 이 미생물이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지에 풍부하게 흩어져 산다는 사실이었다.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이들이 발견한 것은 미생물 자체가 아니고 ... ...
- 파이어니어 10호는 살아있다과학동아 l1998년 09호
- 우주 공간에서 파이어니어는 아직도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황소자리 알데바란을 목표로 항해 중이다. 아마 그곳까지 가는 데에는 2백만년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
- 2. 기상예측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8년 09호
- 예보할 수 있다. 반면 여름철에 사방 수백km 구역 내에 쏟아지는 폭우성 비구름과 집중호우는 관측망이 충분하다면 몇 시간 전에 그 영향범위를 예보할 수 있다. 하지만 폭우성 비의 양은 예측하기 매우 힘들다. 미국에 자주 출몰하는 사방 수백m 정도의 살인적 토네이도는 몇분 전에 겨우 예보할 수 ... ...
- 조선백자 뒤에는 숲이 있었다.과학동아 l1998년 09호
-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서로 반반 되며, 개간한 밭이 1만6천2백69결(結)이다.” 즉 1천 4백여호에 달하는 농업인구를 지탱하기 위한 산림을 생각하면, 오직 넓지 않은 면적의 산림을 절수처로 지정해 공사의 사용을 제한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산림은 조선왕조가 내세운 산림이념처럼 자유스럽게 ... ...
- 태양전지 비행기과학동아 l1998년 09호
- 신소재를 바탕으로 한 비행기의 제작으로 성공할 수 있었다. 민들레호가 안착한 키티호크는 라이트 형제가 1903년 인류 최초로 동력비행에 성공했던 곳이어서 더욱 뜻이 깊었다 ... ...
- 에밀레 종 비밀은 맥놀이과학동아 l1998년 09호
- 종소리의 고유 성분인 저진동수 성분은 내부로 되돌려보내 종소리의 고유성분을 보호하고, 높은 진동수 성분(3백Hz이상)의 음파는 재빨리 방출해 잡소리를 줄이는 기능을 하고 있음이 확인됐다.신종의 음관이 종소리의 주 진동수인 64Hz와 1백68Hz의 기본 진동은 내부로 되돌려 보내고 높은 진동수의 ... ...
- 세계각국의 영상 정찰위성과학동아 l1998년 09호
- m의 고해상도 카메라시스템을 탑재한 정찰위성임이 확인됐다. 이어 1997년에 발사한 오펙 4호는 1m의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군사정찰위성이었으나 발사에 실패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첩보위성 이용최근 북한의 잠수정이 동해안에 침투한 사건이 있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왜 ... ...
- 2단 중형과학로켓 첫 성공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사고를 냈다.우리나라 최초의 과학로켓인 과학 1호가 발사된 것은 1993년 6월 3일. 과학 2호는 같은 해 9월에 발사됐다. 이때의 과학로켓은 1단형이었고, 최고 고도 역시 37.5km에 불과했다. 그래서 이번 2단 분리형 중형과학로켓의 성공적인 발사는 큰 의미를 가진다. 많은 실패 없이 기술적인 수준을 크게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