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북쪽으로 100km 이내의 영상을 찍을 수 있을 뿐이다.미국은 우주뿐 아니라 육지, 바다,
하늘
에 배치된 자산을 상호 보완적으로 동시에 운용해 미사일 발사 징후를 빈틈없이 파악할 수 있다. U-2 고공정찰기는 24km 이상의 고도에서 북한 내륙의 영상을 촬영하고, 미사일 발사장 주변의 무선통신을 감청해 ... ...
퇴적 예술의 걸작품 두무진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가깝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태초의 신비와 아름다운 풍경을 그대로 간직한 무공해 섬이다.
하늘
에서 내려다보면 백령도는 마치 한 마리 새가 북쪽의 장산곶을 향해 날개 짓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새의 머리에 해당되는 곳에 두무진(頭武鎭)이 있다. 100m 가까이 치솟은 누런 바위 덩어리들이 4km나 ... ...
궁궐의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늘
나라 선녀가 살고 싶을 만큼 조선시대의 궁궐은 매력적인 곳이었나 봐요. 실제로 조선시대의 궁궐은 임진왜란 때 왜군을 따라 전쟁에 참여한 왜승 제타쿠가‘여기가 용의 세계인지 신선이사는 곳인지 보통 사람의 눈으로는 구별할 수 없다’라고 감탄했을 정도로 화려하고 웅장한 곳이었답니다 ... ...
우리가 몰랐던 나무의 모든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속에도 신기한 나무들이 많답니다.‘잭과 콩나무’에 나오는 하룻밤 사이에 쑥쑥 자라
하늘
끝까지 닿은 나무는 없지만 말이지요. 우리가 미처 모르고 있었던 나무의 독특한 특징도 많답니다. 신기하면서도 재미있는 나무의 세계로 한번 빠져 볼까요?나무를 죽이는 나무들나무를 죽이는 무서운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여름철에 잘 나타난다 보통 소나기나 우박이 쏟아질 때 혹은 번개나 천둥이 칠 때
하늘
을 보면, 구름 위가 산모양으로 치솟아 있고 아랫쪽은 약간 퍼져 있는, 색깔이 진한 구름기둥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모양의 구름을 적란운이라고 한다 그 모양상으로는 적운과 비슷하지만, 적운은 ... ...
벼락이 모진 놈 좋아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방전현상의 일종으로 땅으로 떨어지는 번개다. 벼락은 뾰족하게 솟아있는 물체에 잘 떨어진다.
하늘
에서 땅으로 내리칠 때 벼락도 지름길을 택하는 까닭이다. 그러니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다’는 속담이 맞는 셈이다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976년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등장한 태권V는 날개도 없는데 자유자재로 비행한다. 발바닥에 있는 분사구에서 불을 뿜으며 육중한 로봇이 떠오른다. 때로는 별도의 장치 없이 ... 직접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래에는 태권V가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유롭게
하늘
을 날 수 있지 않을까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기능상 크게 3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번 째 항성 투영부에서는 작은 구멍에 의해 전
하늘
에 걸쳐 식별이 가능한 8천9백여 개의 별들과 그에 의한 별자리 그리고 잘 알려진 성운·성단·은하수 등을 투영시킨다 또 밝은 1등성·2등성 45개에는 특별히 1개씩 투영기가 붙어 있고 변광성(變光星)도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천문학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날이 맑으면 언제나 망원경으로
하늘
을 봤다.29세가 된 10월의 어느 날 밤, 마리아 미첼은 용자리에서 혜성을 발견했다. 그는 확신을 갖지 못했지만 경험이 많던 아버지는 새로운 혜성으로 확신했다. 아버지는 이 발견을 알려야 한다고 권했고 ... ...
용암이 솟아 만든 용두암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한라산 신령이 쏜 화살에 쓰러졌다. 땅으로 떨어진 용은 몸만 바닷속에 잠긴 채 머리는
하늘
을 향해 굳었다는데 그 용머리가 지금의 용두암(龍頭岩)이다. 용머리를 그대로 빼닮은 용두암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용두암이 만들어진 과정을 이해하려면 먼저 ‘클링커’(clinker)를 알아야 한다. 땅 속의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