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미래’ ‘인구와 투자의 미래’ 등 다양한 책을 통해 경제 지식을 쉽게 전달하기
위
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이며, 블로그(blog.naver.com/hong8706)를 통해 독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스미르노프 교수는 2022년 세계수학자대회를 유치하기
위
해 각각 프랑스와 러시아 유치
위
원으로 활동하며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 결정 역시 2018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에서 나옵니다. 둘은 묘한 라이벌 구도를 이루고 있는데요. 앞으로 누가 웃게 될지 궁금합니다 ... ...
수학자가 왜 거기서 나와? 돈 ‘밝힌’ 수학자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않기 때문에, 화폐의 주인공이 되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역사 속에 등장하는 여러
위
인과의 경쟁에서 이겨야만 주인공이 될 수 있지요. 과학자나 수학자가 화폐에 들어가는 건 더 힘듭니다. 유럽의 화폐가 유로화로 통일되기 전 과학자나 수학자가 들어간 경우는 약 24%뿐이었어요. 어떤 수학자가 ... ...
도넛
위
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끝나면 아무것도 적지 않고, 그게 아니면 이긴 사람의 기호(◦ 또는 ×)를 작은 틱택토
위
에 크게 적습니다. 큰 틱택토에서 승부가 난 곳을 제외한 다른 틱택토의 빈칸에 ◦ 또는 ×를 표시해야 합니다. 결국 큰 틱택토에서 먼저 삼목을 만드는 사람이 최종 승자가 됩니다. 슈퍼 틱택토에서 항상 이길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절친이 있는 곳도 뫼비우스 띠
위
인지 물어봤어. 그런데 거긴 아니래. 교생쌤이 있었던
위
쪽은 끝없이 길이 이어져있대. 아무리 걸어도 길이 있다는 거야. 신기한 건 절친이 있는 곳은 아래쪽이 그렇대. 둘 다 옆으로 가면 대각선으로 걷게 된대. 교생쌤 말로는 본인이 있는 곳과 절친이 있는 곳을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자율주행자동차, 얼마나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동시에 자율주행자동차를 둘러싼 안전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도로
위
돌발 상황에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을까.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 기술을 점검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자율주행자동차, 얼마나 안전할까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그 과정에 대한 관심은, 결과에 대한 관심에 비하면 매우 미약하다.이런 과정을 만들기
위
해 땀 흘리는 과학자들의 노력을 소개한 책이 나왔다. ‘디지털이 꿈꾸는 미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006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과학 대중서 ‘이지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마찰력 등에 의한 운동량 손실이 존재한다. 또 상황에 따라서는 충돌하는 두 스톤이
위
의 당구공 충돌처럼 언제나 동일한 충돌 면적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스톤과 스톤이 어느 정도의 두께로 충돌하는가에 따라 스톤과 스톤 사이에서 전달되는 운동량이 달라진다. 스톤과 스톤이 두껍게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뇌에 손상을 입는지 아닌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지요. 2011년 중국 연구팀은 딱따구리의
위
아래 부리 길이가 달라서 뇌에는 충격이 거의 없다고 주장했어요.컴퓨터 모델링으로 부리 길이가 다르면 뇌에서 받는 충격이 최대 18배까지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하지만 실제 딱따구리의 뇌 ... ...
Part 4. 빵빵~ 미세먼지 잡는 자동차가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온 역전 현상’이라고 한답니다. 이로 인해 기온 역전층이 생기면 미세먼지가 땅
위
에 머물러서 피해가 커지지요. 이에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모셰 앨러마 교수팀은 트럭에 제트엔진을 싣고 미세먼지 배출량이 많은 화력발전소 근처에서 하늘을 향해 제트엔진을 분사하자고 제안했어요.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