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엄상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푸는 비결이에요!서로 분야가 달라도 도움이 되나요?최근에는 KAIST 후배이자 파리의 국립연구소에서 일하는 수학자를 만나러 프랑스에 갔어요. 저는 그래프 이론을 연구하지만 그 후배는 알고리듬에 대해 연구하고 있지요. 그래서 2년 전에 둘이 힘을 합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현재 논문을 쓰고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Very Interesting Event!)”.2015년 9월 14일 저녁. 필자는 e메일 한 통을 확인했다. 라이고-버고 연구단의 분석팀원인 마르코 드라고(Marco Drago)에게서 온 메일이었다. 메일에는 중력파로 추정되는 신호를 발견했다는 흥분 섞인 메시지가 담겨있었다. 한국중력파연구단의 일원으로,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Secret city(비밀 도시)’라는 안내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이런 황당한 상황은 연구소 설립 배경을 보면 자연스레 이해가 된다. ORNL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원자폭탄 개발을 위한 맨해튼 계획의 일환으로, 플루토늄 생산과 분리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1943년에 설립됐다. 현재는 미국 에너지부 소속으로 ...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보다 더 복잡한 자연현상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수리학 연구소에서는 겐토를 ‘라플라스의 악마’라 불렀다.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피에르 라플라스의 가설에서 따온 별명이다. 라플라스는 만약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원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알고 있는 존재, 즉 ...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미국 UC어바인 공동 연구팀이 기후변화로 육지의 물 저장 용량이 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속도가 일시적으로 늦춰졌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지구의 물 순환 패턴이 해수면 상승에 급격하게 영향을 줄 것이라고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9월부터 이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끝까지 비밀을 지켰다. 오상훈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친한 친구가 물어봐도 답을 해줄 수 없어 괴로웠다”고 말했다.연구팀이 발표한 내용은 떠돌던 소문과 상당부분 일치했다. 지구로부터 13억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두 개의 블랙홀이 충돌하는 동안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런 주장 어디에도 사드가 북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는 근거는 없다. 홍현익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실장은 JT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태평양을 건너 미국까지 가는 데는 40여 분이 걸리지만, 우리나라는 길어야 5분”이라며 “이 시간 안에 탐지, 식별, 보고, 결정,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꿈을 갖고 전자공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그리고 그로부터 10년 뒤인 2007년에 뉴욕의 IBM 연구소에 입사했다.퀴즈 챔피언 왓슨을 헷갈리게 한 바로 그 문제당시 IBM은 퀴즈를 푸는 슈퍼컴퓨터 ‘왓슨(Watson)’을 개발하고 있었고 필자도 이 프로젝트에 간접적으로 참여했다. 체스는 경우의 수는 많지만,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붙어있는 BNST(분계선조침대핵)라는 뇌 부위와 연관성이 깊다. 김성연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교수는 “공포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수치가 변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등의 뚜렷한 반응이 나타난다”며 “반면 불안은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감정으로 평소와는 상대적으로 다른 행동들을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1.5m, 무게는 최대 7톤에 달하며 초식공룡을 주로 잡아먹던 대형 포식자였지요. 국립문화재연구소 임종덕 박사를 비롯한 국제공동연구팀은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땅을 긁은 것 같은 흔적 화석을 50여 지점에서 발견했습니다. 긁힌 자국은 최대 지름이 약 2m로 거대했지요. 긁힌 자국 60여 개가 무더기로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