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미국 UC어바인 공동 연구팀이 기후변화로 육지의 물 저장 용량이 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속도가 일시적으로 늦춰졌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지구의 물 순환 패턴이 해수면 상승에 급격하게 영향을 줄 것이라고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소두증을 일으키는데 관여했을지 추가로 조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윤인규 국제백신연구소(IVI) 뎅기사업단장은 돌연변이 외에도 지카 대유행의 원인에 다양한 요인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돌연변이뿐 아니라 도시화, 세계화, 인구증가, 환경변화 등 여러 요인이 바이러스 대유행을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폐쇄회로(CC)TV로 범인을 검거한 사례는 매년 대략 2000여 건(2014년 기준). 여기에는 마스크를 쓰고 있거나, 화질이 떨어져 영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도 포함돼 있다. CCTV의 기록을 증거로 만드는 이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기사에 나오는 사진은 실제 사건과 무관한 가상상황이다.[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붙어있는 BNST(분계선조침대핵)라는 뇌 부위와 연관성이 깊다. 김성연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교수는 “공포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수치가 변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등의 뚜렷한 반응이 나타난다”며 “반면 불안은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감정으로 평소와는 상대적으로 다른 행동들을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1.5m, 무게는 최대 7톤에 달하며 초식공룡을 주로 잡아먹던 대형 포식자였지요. 국립문화재연구소 임종덕 박사를 비롯한 국제공동연구팀은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땅을 긁은 것 같은 흔적 화석을 50여 지점에서 발견했습니다. 긁힌 자국은 최대 지름이 약 2m로 거대했지요. 긁힌 자국 60여 개가 무더기로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9월부터 이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끝까지 비밀을 지켰다. 오상훈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친한 친구가 물어봐도 답을 해줄 수 없어 괴로웠다”고 말했다.연구팀이 발표한 내용은 떠돌던 소문과 상당부분 일치했다. 지구로부터 13억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두 개의 블랙홀이 충돌하는 동안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런 주장 어디에도 사드가 북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는 근거는 없다. 홍현익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실장은 JT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발사된 미사일이 태평양을 건너 미국까지 가는 데는 40여 분이 걸리지만, 우리나라는 길어야 5분”이라며 “이 시간 안에 탐지, 식별, 보고, 결정, ...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보다 더 복잡한 자연현상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수리학 연구소에서는 겐토를 ‘라플라스의 악마’라 불렀다.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피에르 라플라스의 가설에서 따온 별명이다. 라플라스는 만약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원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알고 있는 존재, 즉 ... ...
- [지식] 엄상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푸는 비결이에요!서로 분야가 달라도 도움이 되나요?최근에는 KAIST 후배이자 파리의 국립연구소에서 일하는 수학자를 만나러 프랑스에 갔어요. 저는 그래프 이론을 연구하지만 그 후배는 알고리듬에 대해 연구하고 있지요. 그래서 2년 전에 둘이 힘을 합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현재 논문을 쓰고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형태로 자라나 하나의 장기처럼 본래의 기능을 한답니다.2009년 네덜란드 후브레히트 연구소의 한스 클레버스 박사가 생쥐의 직장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배양해서 내장을 만드는 데 성공해 최초의 오가노이드를 선보였어요. 지난 해 7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케빈 힐리 교수팀이 인간의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