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살이 찌는 것보다 건강이 나빠질까봐 걱정을 많이 해요. 자연적으로 생긴 트랜스지방은 양도 적고 위험성이 적은데다, 몸속에서 유익한 물질로 바뀌기도 하지요. 하지만 가공 과정에서 생긴 인공 트랜스지방은 먹으면 위험해요. 몸속에서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 ...
- 아가미가 쭈글쭈글~ 주름 잡아야 숨 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면서 호흡하는 것처럼, 물고기는 입의 양 옆에 나 있는 아가미로 물을 빨아들여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와 함께 물을 다시 바깥으로 내보내면서 숨을 쉬어요. 물고기의 아가미는 여러 장이 촘촘하게 주름 잡혀 있지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김호영 교수 ...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거지. 방파제를 중심으로 한 쪽으로 쏠리는 모래의 흐름을 순환시켜주는 방법이니까 양빈보다 훨씬 효과적이란다. 대책 2 모래를 꽉 잡아라, 해빈해수공법!모래를 붙잡아 두는 방법도 있어. 바닷물이 해안가로 올라왔을 때 물을 모래 아래쪽으로 빨아들이는 거야. 보통 모래는 바닷물이 바다로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처음 웜홀의 이름은 ‘아인슈타인-로젠 다리’였다. 웜홀의 개념은 간단하다. 종이의 양 끝에 각각 구멍 하나씩을 뚫고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가는 최단 거리를 생각해 보자. 대부분 직선 거리를 떠올리지만, 종이를 구부려 구멍을 맞댄다면 훨씬 빨리 갈 수 있다.마찬가지로 시공간을 종이처럼 휠 수 ... ...
- [수학뉴스] 달리기를 잘 하고 싶다면 수학에 주목하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나타냈다. 이 세 미지수는 최대 산소 섭취량이나 사용 가능한 혐기성 에너지의 양 같은 생리학적인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두 수학자는 이 방정식에 여러 숫자를 대입하면서 최소한의 에너지로 최대 효과를 내는 방법을 찾았다. 그 결과, 동일한 속도로 달리는 것보다 10% 정도 속도를 바꿔 가면서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비율은 겨우 26%에 불과해요. 재생유나 고형연료 형태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쓰이는 양은 35.6%. 남은 38.1%는 그냥 쓰레기가 될 뿐이지요.미국의 대표 일간지인 는 바다에 떠다니는 거대한 플라스틱 쓰레기 더미를 ‘제8대륙’이라고 불렀어요. 그만큼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다는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된다. 비록 변하는 질량은 매우 작지만, 여기에 빛의 속도의 제곱이라는 매우 큰 양을 곱하기 때문에 상당히 큰 에너지를 얻게 된다.인류가 핵융합의 원리를 처음 이용한 것은 수소폭탄을 통해서였다. 2차 대전 이후 미국과 러시아는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폭탄보다 더 강력한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카이퍼 벨트’에 위치. 포물선 궤도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 원형 궤도 특징 태양에 접근하면 핵에서 가스가 분출하며 최대 100만km에 이르는 긴 꼬리가 생김 단단한 고체 표면을 가졌고 대기가 없음 소행성 하나는 5000조 원소행성궤도변경 임무는 사실 NASA의 다목적 포석이다. 가장 큰 ...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서는 블루베리를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하기도 했답니다.블루베리로 아주 다양한 음식을 만들 수 있어요. 와플이나 빵에 곁들여 먹거나, 우유나 요거트와 함께 갈아서 마시기도 하지요. 명예기자 선재와 수민이는 블루베리와 설탕을 반씩 섞어 발효시킨 블루베리 효소를 ... ...
- [수학뉴스] 컴퓨터 인공지능은 수학으로 마술을 부린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카드 마술을 할 때보다 카드를 열어 보는 횟수가 평균 한 번씩 적었다.컴퓨터는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한 결과 새로운 마술을 창조해냈다. 연구팀의 피터 맥오웬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증명하는 좋은 방법”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연구를 심리학 연구의 한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