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1세기 시시포스의 도전 줄기세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차리고, 하반신마비 환자가 뛰어다니고, 동물에서 만든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그런 세상이 올 줄 알았다. 그러나 황우석 전 교수의 논문은 조작으로 밝혀졌고, 환자들의 기대는 절망으로 바뀌었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시시포스가 절벽에서 굴러 떨어지면서도 끝내 포기하지 않고 바위를 밀어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탐색 하고 있다. 빛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존재면서, 여전히 가장 신비로운 존재고 세상의 비밀 속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물리학자들의 연구를 지켜보자 ... ...
- 한의원에서 초음파 검사도 한다고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그러한 방법이 한의사를 찾아 온 환자를 위하는 길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1608년 선조가 세상을 떠나자 ‘의술이 부족하여 선조를 죽게 했다’는 죄로 유배 길에 올라야 했던 허준처럼, 오늘날 한의사도 만일 맨손과 맨눈으로 진단에 실패할 경우에는 치료의 모든 책임을 지고 환자에게 배상을 ... ...
- 즐거움은 더하고 창의력은 곱하고 2014 온라인수학게임대회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모여 수학 능력을 겨루는 자리랍니다.실력 팡팡! 상품 듬뿍! 게임으로 즐기는 수학세상!‘제5회 과천과학관 온라인수학게임대회’는 전국 초등학생 3~6학년 학생들이 수학 능력을 겨루는 대회다. 학년별로 각각 선착순 2만 5000명씩 총 10만 명이 참여한다. 대회 참가자는 연산, 측정, 확률과 통계, 도형,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딱딱한 배터리는 각종 스마트 기기의 크기와 두께 등 디자인을 제한해왔기 때문이다. 세상에 없던 유연한 배터리를 탑재할 미래형 스마트 기기는 지금은 아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모습으로 우리 앞에 찾아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멍청아! 문제는 ... ...
- 힉스메커니즘 제안자 구랄닉 교수 별세과학동아 l2014년 07호
- 77세.힉스 메커니즘은 1964년 세 그룹의 이론물리학자들이 거의 동시에 논문을 내면서 세상에 나왔고, 무려 50년 가까이 지난 2012년 실험을 통해 증명됐다. 하지만 첫 번째 논문을 쓴 프랑소아 앙글레르 교수와 두 번째 논문의 저자 피터 힉스 교수만이 노벨상을 수상했고(앙글레르 교수와 같이 논문을 ...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만들 수 있죠. 공대는 당장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필요한 시설을 만드는 곳입니다. 세상의 밑그림을 그리고 싶은 학생들이 건설환경공학부에 와서 잘 배우고, 지구를 살리는 지도자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말이나 구호품을 건네는 것이 아니라 아픔을 함께 공 감하고 고통 받는 이들이 바라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면 조금은 빨리 나아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기대해 봅니다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컨트롤 로봇’의 역사 6월 13일(한국시간) 브라질월드컵 개막식에서 과학의 진보가 세상을 바꾸는 역사적인 순간을 두 눈으로 꼭 지켜보자. 하반신이 마비된 청소년이 뇌파신호로 움직이는 외골격로봇을 입고 나와 시축을 한다. 이 장면은 생중계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이 지켜볼 것이다. 1990년대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만약 당신이 나비는 물론 파리, 모기, 아니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곤충, 더 나아가 세상의 모든 입자의 운동을 다 조사한다면 예측 가능할지도 모른다.그렇다고 지금부터 곤충의 운동을 조사하러 다닐 생각은 추호도 하지 말라. 어차피 양자역학에는 보다 본질적인 불확실성이 있다. 확률 밖에 알 수 ... ...
이전2142152162172182192202212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