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것으로 보고 있다.다른 도마뱀들과 달리 모사사우루스는 평생을 물속에서 살아가는 수중
생물
이었다. 그래서 이들은 헤엄을 치기에 적합한 유선형의 몸 구조를 진화시켰다.그런데 놀랍게도 이들의 몸 구조는 오늘날의 해양포유류인 고래와 상당히 유사하다. 먼저 물속에서 방향전환을 하는 데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생각하는 것보다 심각하다. 특히 분단된 이후에 발전한 분야의 새로운 현상, 새로 발견된
생물
의 이름은 판이하게 다르다. 예를 들면, 곤충을 분류하는 402개 과(科) 중에서 316개 과의 이름이 다를 정도다. 상대방이 무엇을 말하는지, 어떤 말을 하는지 모를 뿐 아니라 대화가 더 이상 진전될 수 없는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취재차 수학과 교수를 만난 자리에서 이렇게 물은 적이 있다. “미적분학은 왜 이렇게 어려운 건가요?” 교수는 당황스러운 듯 잠시 말이 없었다. ... 서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과연 그의 말이 실현될까? 수학과
생물
학의 흥미진진한 ‘밀당’을 지켜보자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나온 전자를 얻는 거예요.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면 커다란 나무부터 물속에 사는 미
생물
인 ‘조류’까지, 뭐든지 전기를 공급하는 대상이 된답니다.태양전지를 만드는 방법도 있어요. 태양전지 기판 재료로 보통 ‘실리콘’을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식물의 엽록소를 이 기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생명과학 쪽 분야를 택한 이유를 묻자 언니 서영 씨가 “고등학교 때부터 둘 다 수학,
생물
은 잘했지만 국어와 물리는 젬병이었다”고 답했다. 쌍둥이 자매가 달라진 것은 대학에서다. 언니는 테니스 동아리를 하며 활동적인 성격이 된 반면 여대에 진학한 지영 씨는 친구들과 커피를 마시며 수다를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1996년 미국 록펠러대 데이비드 앨리스 교수가 원핵
생물
인 테트라하이메나(Tetrahymena )에서 히스톤 아세틸기전달효소를 발견했다. 이 효소는 히스톤의 아미노산 중 라이신에만 아세틸기를 붙이는 역할을 한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아세틸기전달효소가 알고 보니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 아이를 낳기 전에 이걸 알았어야 하는데….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꼴이다(웃음). 예전
생물
학에 따르면 우리 세포에 문제가 생겨도 우리 당대만 고생하면 됐다. 잘못된 습관으로 생긴 내 암세포가 생식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제는 내 자식까지 고생해야 될지도모른다.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서해안의 갯벌 때문”이라고 말했다. 갯벌에 파묻힌 유물은 패각류를 포함해 여러 해양
생물
들이 접근할 수 없고, 유물을 산화시키는 산소도 차단돼 훼손이 적다. 이런 이유로 태안에서 발견된 유물중에는 역사적 가치가 큰 문화재가 많다.2009년 태안 마도해역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고선박 마도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질소로 단백질을 만들도록 돕는다. 공기 중에는 질소가 약 78%나 들어 있지만 거의 모든
생물
은 질소를 스스로 얻지 못한다. 번개가 치고 지나간 자리에는 뜨거운 열기가 남는다. 그러면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가 결합해 산화질소가 된다. 산화질소는 빗방울에 녹아 질산염이 돼 땅으로 떨어지고 흙 ...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탐사를 나갈 수 있답니다.Q 지사탐 활동을 통해 달라진 점이 있나요?아이들이 주변의
생물
들을 스스로 탐구하는 눈이 훌쩍 자랐답니다. 캠핑 갔을 때 잠자리 우화 장면을 찾아내고, 귀뚜라미 야간탐사 도중 신기한 먹물버섯을 발견 하기도 했지요. 무슨 일을 하든 도전정신이 강해진 것도 지사탐의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