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Scud)를
바탕
으로 화성 미사일과 노동 미사일을 1980-1990년대에 개발했다. 북한은 이를
바탕
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급인 우주발사체 백두산(서방에서는 발견장소의 이름을 따 대포동 1호로 알려져 있다)을 개발, 1998년 8월에 위성발사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백두산로켓은 1단에 IRBM인 노동 1호의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바이러스 게놈 유래의 효소(또는 효소의 기본구성단위)가 관여한다 RNA의 염기배열을
바탕
으로 DNA를 합성하는 효소 역전사효소(逆轉寫醒素 ; reverse transcriptase)라고도 한다 RNA바이러스의 1종인 레트로바이러스류의 입자내에 함유되어 바이러스의 외사슬 RNA를 주형(鐘型)으로 하여 상보적(相補的)인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유사하다. 김 교수는“초파리에서 온도감지 해석과정에 대한 하나의 모델을 만들면 이를
바탕
으로 인간을 포함한 고등동물을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실험실에서 유망 벤처가 탄생신경네트워크 연구실에서 진행중인 온도 감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이제 걸음마를 막 시작한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실크단백질의 1차구조는 최근 전체 염기서열이 해석되면서 밝혀졌다. 서열을
바탕
으로 살펴보면 실크단백질은 짧은 친수성 영역과 긴 소수성 영역이 반복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실크단백질은 친수성과 소수성 영역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농도에서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199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그는 돌턴의 원자설에서부터 비롯된 원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오늘날 나노기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소개했는데, 이 강연은 한달 전에 좌석 예약이 끝날 정도로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강연 전날 기자와 만난 크로토 박사는 “물질에 대한 진정한 이해는 ... ...
이공계가 과학기술 강대국 中國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경제성장을 거둘 수 있는 비결은 다름 아닌 과학기술에서 찾을 수 있다. 과학기술을
바탕
으로 경제발전의 기초를 다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과학기술의 성공 여부가 중국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 중국을 이끌어가는 최상위 국가지도부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새로 개발한 수술방법을 적용해 그 타당성을 검사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
으로 수술 전략을 바꿀 수 있는 모의 수술용 시스템을 개발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도 역시 CISST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뇌수술 및 안과수술을 위한 모의 수술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생명 이론,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어빈 슈뢰딩거의 생명론 등을 비롯해 동서양사상을
바탕
으로 창안한 것”이라고 말했다.생태계 문제도 ‘온생명의 건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인간이 자신만 살겠다고 ‘몸’을 해친 결과가 바로 생태계 파괴라는 것이다. 국내의 굵직한 ... ...
1 인간의 사고가 오류투성이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신체의 반응정도에 따라 이뤄진다는 사실은 이성적 판단에 정서적 기억이 필수적인 밑
바탕
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편향적이며 오류투성이의 인간시각적으로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을 연구한 인지과학자들은 아주 중요한 연구 성과를 내놓았다. 영화 ‘터미네이터’에서 터미네이터는 우리가 보는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프로그램이다. 이는 수많은 환자의 각기 다른 상황에 따라 의사의 풍부한 노하우를
바탕
으로 적절한 처방을 내린다.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진 마이신은 아직까지도 인공지능의 성공적인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이밖에도 사람의 시각기능을 모방한 컴퓨터 시각이나 자연언어처리, 음성이해, 로보틱스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