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F1의 공식명칭은 포뮬러원 월드 챔피언십. 국제자동차연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열리는 세계 최정상자동차 경주대회다. 최고 스피드를 겨루는 이 대회에서 우승하기 위해 수 ... F1 신화를 수학으로 쓰다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PART 2. 숨 막히는 3일간의 대혈전 PART 3. 우리가
미래
의 F1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조수는 상대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박사님, 아마 유명해진 건 제 이름뿐일 겁니다.
미래
에서 온 사람들이 노리는 것도 나지만 반대파가 살리려는 사람도 나뿐일 겁니다. 어서 이 자리를 피하세요.”남 박사는 다시 비웃었다. 그리고 조수가 전송기를 통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보며 생각했다. 휴가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신인류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진화하고 있다. 나노과학과 재료공학을 만난 피부의
미래
는 어떤 모습일지 살펴보자.의사가 환자의 혈관에 주사바늘을 꽂고 문신 염료를 집어넣는다. 특이하게도 이 염료는 아무런 색을 띠지 않는다. 염료를 다 집어넣은 의사가 피부 위에 조명을 비췄다. 그러자 피부 ... ...
새들도 장래 계획 세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있다. 연구팀은 “새들이 배가 고프지 않을 때도 거주지를 확인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미래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추정한다”며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더 연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권투 시합에 응용할 수 있으려면 지금보다 더 정교하고 속도가 빨라져야겠지만 10년 뒤의
미래
라는 점을 감안하면 불가능하다고 할수는 없다.정작 2020년에 이루기 가장 힘들어 보이는 건 권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된 로봇이다. 펀치를 날릴 때 우리 몸의 변화를 생각해보자. 단순히 주먹만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추구한다. 성실하게 교육을 받고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로서 제 역할을 하길 바란다.
미래
사회는 첨단과학기술인력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충실한 과학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여성 이공계 핵심인력이 될 것이다.1학년은 과학중점과정과 일반과정, 2학년은 과학중점과정과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해결해 나가자는 뜻으로 RGB 캠페인을 벌이고 있어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조숙경
미래
융합실장님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 봐요.RGB 캠페인은 무엇인가요?RGB는 인류가 겪고 있는 지구 문제 5개를 색으로 표현한 거예요. R(Red)은 질병, G(Green)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식량, B(Blue)는 물 문제를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비판을 받아야 했던 것은 사람이 보수적인 동물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과거를 통해서
미래
를 보기 때문에 정말 세상을 바꿀 정도의 좋은 아이디어를 제대로 바라보기 힘들다. 결국 잡스는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남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자기가 좋아하는 일에 전력을 쏟아야 한다는 교훈을 남긴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선행공정개발실장직을 맡을 정도로 잘 나갔던 그가 학교에 온 것은 연구와 동시에
미래
의 반도체 엔지니어를 직접 키우고 싶다는 생각에서였다.그가 개발하고 있는 것은 구리나노와이어(실처럼 길고 10억분의 1미터 단위로 가느다란 재료)를 이용한 메모리소자다. 반도체는 크게 비메모리소자와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순수과학용 실험이 아니었다면 태어날 수 없었을 겁니다.”베임 교수는 “양자역학의
미래
는 나도 예측하기 힘들다”며 “더 많은 전파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천체물리학, 핵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활약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