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d라이브러리
"
꿈
"(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곤충들이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 지구를 공격한다.1백년 전만 해도 남극은 모험가들의
꿈
과 동경 이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지금의 남극은 각종 자원의 보물창고로 주목받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주인 없는 남극 자원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기지를 세우고 있다. 우리나라도 198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찾을 것이다. 이같은 성분을 지닌 행성이 발견된다면 외계생명체를 찾으려는 인류의
꿈
은 거의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물론 이 발견으로 외계생명체를 찾는 목표가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아마 그 이후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그것은 바로 옆에 있는 화성에서도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법칙을 계속 실현시키기 위해 원자나 분자를 하나하나 조작해 소자를 만드는 전자혁명을
꿈
꾼다. 이를 위해서는 반도체 기판에 회로를 새겨넣는 기존의 제조방식인 ‘탑-다운’(top-down)이 아니라 원자나 분자를 벽돌처럼 쌓듯이 조합해서 새로운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을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거듭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처음부터 TV에서 보는 듯한 화면을 찍는다는 것은
꿈
에서나 할 수 있는 일이다.가장 좋은 방법은 생활 주변의 이야기를 발굴해 자주 찍는 것이다. 음식를 만드는 어머니를 소재로 삼아도 좋고, 화장하기 좋아하는 언니나 누나,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동생을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것은 나노기술이 생명과학과의 만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먼 장래의 환상적인
꿈
이다. 그렇다면 나노바이오가 그리는 가까운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불과 수개월만에 사람들이 나노기술이라는 말에 익숙해졌다. 정부에서 나노기술 개발을 위해 상당한 예산을 투입한다는 뉴스가 빈번히 들리고,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수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바로 나노소재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나노기술이 그리는
꿈
이 현실화돼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나노소재 기술이 확보돼야 한다.내부결정을 미크론 단위에서 나노 단위로 줄인 나노소재는 이미 상업화의 길로 접어들었다. 1997년 11월 IBM은 ... ...
골프공이 포물선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끝나면 곧바로 창고로 들어가는 교구를 언제라도 만나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
꿈
은 어느 정도 실현돼가고 있다. 경기도 마석의 축령산 휴양림 근처에 부지를 확보했고, 설계도 발주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예산이 부족해 아직착공이 이뤄지지 못하고있다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회사를 설립하면서 시작됐다. 이들은 세상에서 제일 좋은 필기구를 만들겠다는 공통된
꿈
을 갖고 있었다. 몽블랑 제품에 새겨진 로고는 유럽 최고봉인 알프스 몽블랑 정상의 만년설을 상징하고, 펜촉에 새겨진 4810이라는 숫자는 몽블랑의 높이다. 유럽인들이 몽블랑 산에 대해 갖는 자부심처럼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통해 원자 간 결합뿐 아니라 남녀 간의 결합까지, 생명의 생육과 번성을 구가할
꿈
을 꾸고 있는 신으로서는 쿨롱법칙을 취하할 수도 없다.여기서 신은 기막힌 방법을 개발한다. 반발하는 양성자 사이에 끼어들어 반발을 무마할 중개자를 만드는 것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이런 상황을 예견한 신은 ... ...
성지식 과잉세대를 위한 맞춤 강의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소망 하나로 생물학과 재학시절 교직과목을 이수했다.하지만 첫 교생실습에서 그의
꿈
은 깨지고 말았다. “학생들 앞에 서니 다리는 후들후들, 말은 왜 그렇게 안나오는지.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이마에 땀방울이 맺힙니다”라고 김교수는 첫 교생실습을 회상한다.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