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약병을 찾아나섰다. 신현정 국민대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나노 앰플이 바로 그것.
길이
가 수백 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 앰플은 몸속 원하는 곳에 약물을 보내는 약물전달체 역할을 할 수 있다.나노 크기로 작으면서도 약물이 새지 않도록 밀봉된 유리병을 만드는 데 쓰인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비유한 짧은 시입니다. 수학에서 점은 ‘크기는 없고 위치만 있는 것’, 선은 ‘위치와
길이
는 있지만 폭이나 두께는 없는 것’으로 점도 선도 도형입니다.이 시는 눈이나 비 같은 자연현상 속에도 수학 개념이 들어 있음을 알려줍니다. 자연은 자연 자체로 아름다운 수학입니다.수학동아 최고의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개발된 것은 2년 전인 2009년. 첫 번째 하이퍼(하이퍼1)는 마치 주사기처럼 뻗어나가며
길이
가 바뀌는 ‘유압식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이용한다. 120kg 정도의 짐을 짊어지고 걸을 수 있다. 로봇 자체의 무게는 100kg. 건장한 성인 남자의 몸무게가 80kg 정도라는 걸 감안하면 하이퍼1은 300kg을 거뜬하게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빗방울, 수증기, 우박 등이다. 격자를 작게 할수록 해상도가 좋아진다. 격자의 변
길이
가 수km면 슈퍼셀의 구조를 어느 정도 분석할 수 있다. 수십~수백m 정도로 짧아지면 슈퍼셀뿐 아니라 토네이도도 분석할 수 있다.문제는 격자가 작아지면 계산할 양이 많아져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었다. ... ...
북두칠성처럼 여름밤을 밝히는 행운의 수 7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산책하던 많은 사람 중에서 ‘7개의 다리를 정확히 한 번씩만 건너면서 지나는 산책
길이
없을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타났어.하지만 이 물음에 많은 학자들이 매달렸지만 해답을 찾지 못했어. 결국 당대 유명한 수학자인 오일러에게까지 이 문제가 알려졌지. 오일러는 이 문제에 대해서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긴 렌즈는 멀리 있는 것을 당겨서 볼 수 있어서 ‘망원렌즈’라고 한다. 하지만 초점
길이
가 길수록 화각이 좁아진다. 초점거리가 300mm인 망원렌즈는 화각이 8°에 불과하다. 사진에 풍경의 일부만 담을 수 있다는 뜻이다.카메라에서 몇 배 줌이라고 하는 것은 렌즈 초점거리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한 묶음으로 해서 암호를 만들고 이를 푸는 암호기술(공개키 암호방식) 중 하나다. 키
길이
가 너무 길다는 단점이 있지만 공개키 암호방식의 대명사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공개키는 암호방식을 담은 암호키, 즉 잠그는 역할을 하는 키다. 외부에 공개하기 때문에 공개키라고 한다.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것도 쓸 수 있지만 간편하게 나타내기 위해 리터 L를 사용합니다. 1L는 한 모서리의
길이
가 10cm인 정육면체 용기에 액체가 가득 찼을 때 액체의 부피를 말합니다. 물론 안치수로요. 그러면 1L=10cm×10cm×10cm=1000㎤가 되지요.다시 말하면 ‘들이’는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생긴 것입니다. 고체의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그노벨상 수상자 특별 강연-칼 삼키기 쇼”라는 강연이 있었다. ‘칼 삼키기 쇼’는
길이
가 50cm나 되는, 공연용 칼을 식도에 밀어 넣는 ‘엽기적인’ 쇼였다(절대로 흉내내지 말기 바란다). 전문 공연예술가인 댄 마이어 씨의 작품인데, 그는 이 공연을 하다가 목에 난 상처를 방사선 전문의와 함께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polypod)[애벌레가 으름덩굴을 먹기 때문에 으름밤나방이란 이름이 붙었다. 종령 애벌레 몸
길이
는 70mm 내외. 애벌레는 붉은색 혹은 검은색을 띠며 두 번째, 세 번째 배마디에 눈알 모양의 큰 무늬가 각각 한 쌍씩 있다. 어른벌레 앞날개는 흑갈색으로 날개를 접고 앉으면 낙엽과 비슷해 쉽게 구별이 가지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