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7,11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 발견
2022.09.24
핵(테트라 중성자)을 관측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테트라 중성자 연구에는 일본 이
화학
연구소의 RIBF (Rare Isotope Beam Factory) 중이온 가속기가 사용됐다. 첫 번째 목표는 일반적인 원자핵보다 중성자가 많은 ‘중성자 과다핵’을 만드는 것이었다. 중이온가속기에서 산소-18(O) 이온을 베릴륨 금속에 ... ...
뱃속 아기도 쓴맛 느낀다…엄마가 케일 먹으니 ‘얼굴 찡그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명확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캐서린 포스텔 미국 윌리엄앤메리대 교수는 “태아의
화학
감각을 보여주는 연구”라며 “임신부의 뱃속에 있을 때 태아가 맛에 대해 보이는 반응과 출생 이후 반응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미래 연구에서 큰 관심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소행성 '류구' 시료 안에서 물방울 확인…지구밖 기원설 뒷받침
연합뉴스
l
2022.09.23
지름 100㎞ 크기로 만들어졌으며 이후 300만 년 간 50℃ 이상 열을 받으며 물과 암석 간
화학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류구는 지름이 10㎞가 넘지 않는 천체가 충돌하면서 충돌지점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에서 나온 물질로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류구 시료에서 1천℃ 이상 고온 ... ...
'알파폴드' 딥마인드 과학자에 '과학계 오스카상'...한국인 수상자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도 생명과학 분야 상을 받았다. 기면증이 ‘오렉신’이라는 뇌
화학
물질의 결핍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한 공로다. 이 연구는 새로운 약물 치료법의 개발로 이어졌다. 현재 임상시험 중이다. 야나기사 교수는 “영광이다”며 일본 젊은 과학자들을 위한 연구기금으로 ... ...
누리호 실렸던 큐브위성의 도전은 끝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에서는 큐브위성이 달의 물 분포와 표토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는 임무를 맡는 등 해외에서는 이미 큐브위성을 적극 활용 중이다. 큐브위성 포털 ‘나노샛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난달 1일 기준 1897개의 큐브위성이 우주에 떠 있는 것으로 집계된다. 시장조사업체 ... ...
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돌연변이 구조 예측 및 후보물질 탐색 모델을 개발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와 한국
화학
연구원, 휴온스와 함께 협력한다. 심플렉스는 폐암 후보물질 발굴에 활용하기 위한 플랫폼을 개발한다. 동아ST와 연세대와 협력해 향후 전이 학습 모델, 조각 중요도 할당 모델 등 서비스를 추가 제공할 ... ...
와인 성분으로 모발 이식용 접착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1
고분자를 섞어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화학
회(JACS) Au' 8월 22일자에 발표됐다. . 물에 녹는 고분자와 탄닌산을 섞으면 마치 젤리처럼 끈적이는 작은 액체 방울이 가라앉는다. 이 액체방울은 의료용 접착제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 액체 방울은 액체에 가까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변화를 규명한 논문이 실렸다. 쓴맛수용체의 구조를 밝힌 최초의 결과로 지난 2017년 노벨
화학
상 업적인 극저온전자현미경을 이용했다. 쓴맛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한 종류다. 인간 게놈에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 유전자가 800여 개나 있는데, 미각, 후각, 시각 등 감각 정보를 비롯해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연구진, 0차원 공허에서 새로운 메모리 기술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유전율을 다중 상태로 바꾼 독특한 아이디어로 주목받는다. ■ 포스텍은 이기라
화학
공학과 교수와 문정빈 고분자연구소 박사 연구팀이 하늘의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미 산란’을 강하게 일으키는 구형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 입자의 크기를 조절해 반사되는 ... ...
[과찬의말씀] 모더나 창업한 랭거 제자 "mRNA 기술 상용화 투자해야"
2022.09.19
동료 연구자들을 만난 것입니다. 친구이자 동료 연구자인 황석연 교수(서울대
화학
생물공학부)는 학부 때부터 같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제가 연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줬습니다. 다음으로 박사과정 지도교수님이었던 故 박태관 교수님(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께서는 어떻게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