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능 개편 한다더니..수학ㆍ과학 교육 죽이기?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대비하기 위한 ‘문·이과 구분없는 융·복합인재 양성’을 특히 강조했다. 이와 관련, 과
학계
에선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새 수능 개편안을 둘러싼 쟁점 3가지를 보다 자세히 들여다 보고자 한다. ○ 쟁점 하나 : 문·이과통합 하자면서, 수학은 가형·나형, 사탐·과탐 선택과목 ... ...
플라즈마로 물 속 박테리아 죽이는 광촉매 효율 5배↑
동아사이언스
l
2017.08.23
%에 불과하기 때문에 거의 46%를 차지하는 가시광선을 활용할 수 있는 광촉매를 찾는 것이
학계
의 숙제였다. 연구진은 별도의 열처리 과정 없이 액체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수중 플라즈마’ 기술로 문제를 해결했다. 이산화 타이타늄 촉매 합성 과정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물이 ... ...
아들 건강 위협하는 엄마의 저주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때문에 후손에 전달될 수 없다. 오로지 엄마의 mtDNA만이 자손에게 전달되는 이유다.
학계
에선 엄마의 몸에서 세대를 거쳐 자연선택을 통해 축적돼 온 mtDNA 돌연변이가 남자 아이에게 해로울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었다. 노화와 불임은 물론 두 눈의 시력을 차츰 잃게 만드는 레버신경위축증과 같은 ... ...
[ESC의 목소리 (17)] 노벨 물리학상을 통해 본 일본 과학 발전의 역사성
2017.08.20
시류를 기회 삼아 어떻게든 극복하려 굳게 마음 먹었던 것 같습니다. 오사카대학 이
학계
연구과 대강의실에는 아직도 그가 즐겨쓰던 말인 물상조박(勿嘗糟粕)이 새겨진 현판이 걸려있습니다. 조박(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을 핥지 말라는 뜻으로, 무언가를 만든 사람의 정신을 이해하지 않은 채 ... ...
9년 만에 비트코인이 둘로 쪼개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19
스티븐 라이트 - YOUTUBE 캡쳐 제공 ※ 사토시 나카모토 : 비트코인 개발자의 가명으로,
학계
에선 일본 교토대의 수학자 신이치 모치즈키 교수라는 풍문이 있다. 그의 홈페이지에 세계적인 수학난제인 ABC 추측을 증명해 올린 논문이 비트코인 체계와 흡사하다는 이유다. 하지만 지난 2016년 5월 호주 ... ...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어떤 자격을 갖춰야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2
박기영 순천대 교수가 황우석 사태와 연루된 연구 윤리 문제 등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선임된지 나흘만에 내려왔다. 이제 다시 과 ... 활발해질 전망이다. 새로 뽑을 본부장에 대한 논의에서 부터 예산 편성 등까지 과
학계
의 의견 개진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 ...
시민단체-
학계
는 ‘박기영 과기혁신본부장 사퇴 요구’… ‘과학 단체’들은 ‘함구’
2017.08.11
前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은 “과
학계
원로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면서 현재 과
학계
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언급조차 하지 않는 것은 한림원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토론회는 자화자찬을 위한 자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과기한림원은 다양한 과학기술계 현안에 대해 ... ...
靑 “박기영 과기본부장 거취 심각하게 고민”
동아사이언스
l
2017.08.10
무조건 기용되는 ‘노무현 하이패스, 프리패스’ 인사”라고 비판했다. 9일에도 과
학계
는 박 본부장 선임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과학 정책 제안을 위한 과학자와 시민 모임인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는 9일 성명서를 내고 윤태웅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교수를 비롯한 총 16 ... ...
6만년 전, 인도네시아에 초기 인류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0
약 20만년 전 ‘미토콘드리아 이브’라고 알려진 동아프리카의 한 여성인 것으로 보인다.
학계
에선 그의 자손이 차츰 이동해 약 6만 년 전 지금의 인도네시아인 순다랜드 초입 지역에 도착했으며, 그로부터 1만년 뒤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극동아시아로 차츰 퍼져나갔다고 본다. ※ 순다랜드: 약 60 ... ...
자는 동안에도 학습 가능?...새 기억은 렘 수면때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8.09
학계
에선 잠자는 동안 기억이 형성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이에 대한 마땅한 근거는 내놓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나왔다. 프랑스 PSL연구대 토마스 안드릴런 박사팀은 수면단계 중 ‘렘(REM) 수면’과 ‘가벼운 비렘 수면(NREM)’ 때 기억이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