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메이즈 러너'의 한 장면 - 이십
세기
폭스코리아 제공 “아무것도 기억이 안 나. 우리는 왜 여기 있는 거지?” 최근 개봉한 영화 ‘메이즈 러너(Maze Runner)’는 모든 기억이 지워진 소년들이 거대한 미로에서 출구를 찾아 헤매는 이야기다. 영화 제목처럼 소년들은 출구를 찾아 달리고 또 달린다. 마치 ... ...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
2014.10.07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노벨상위원회는 “20
세기
가 백열등 시대였다면 21
세기
는 LED 시대”라며 “백열등에 비해 소비전력은 10분의 1에 그치면서 수명은 100배 이상 지속돼 새로운 빛의 시대를 열게 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질화갈륨(GaN)을 근간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에 N형과 P형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이름을 붙여 조나단이라고 불렀다는 것. 즉 홍옥은 자연적으로 나온 품종인 셈이다. 19
세기
조나단이 일본으로 건너가 홍옥이라는 이름을 얻었고 20
세기
초 한반도로 넘어온 것. 한편 국광 역시 원래 이름은 ‘랠스 제넷(Ralls Genet)’이고 역시 미국이 기원으로 18
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
가속기 핵심장치 ‘방사선 발생장치’ 국내기술로 개발
2014.10.01
밀어내는 힘)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내부 구조를 정밀하게 조정했다. 또 자기장의
세기
대신 자석의 주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 방사선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도 성공했다. 결국 강력한 자기장을 유지하면서도 실험의 안정성과 정밀도를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방사선 장치 ... ...
도시가 잠든 사이에 무슨 일이?
수학동아
l
2014.09.17
산책하는 주인의 모습을 연출했다. - 리히트팍토르 제공 라이프 그래피티의 시초는 20
세기
천재 화가로 불린 파블로 피카소였다. 피카소는 1949년 미국의 유명한 사진잡지인 '라이프(LIFE)'지의 사진작가 욘 밀리와 함께 빛으로 그림을 그리는 데 처음 성공했다. 리히트팍토르는 다양한 색과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학생들에게는 허울뿐이고, 기초소양을 약화시킬 우려가 크다. 지식정보화시대인 21
세기
에 학생들은 기본적인 개념뿐 아니라 첨단지식의 변화도 어느 정도 알고 그 지식을 생활에 활용할 수도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 교육에는 시대에 뒤떨어진 박제화된 지식만 남아 있다. 첨단 지식의 변화와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진동하면서 원형과 사각형, 반달모양 등 다양한 구멍이 나타난 것이다. 연구진은 빛의
세기
를 조절해 구멍의 모양과 크기를 조절하는 데도 성공했다. 금 나노입자는 구멍을 뚫은 뒤에는 자발적으로 그래핀에 달라붙어 ‘금 나노입자-그래핀 나노포어 하이브리드 구조체’를 이루는 것으로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4.09.06
넘게 시간이 흐른 18
세기
에 오일러가 찾은 2개의 초승달을 포함해 5개뿐이다. 그리고 20
세기
에 이르러 수학자 체바토루와 도로드나우는 구적이 가능한 초승달은 5개뿐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즉, 달의 모양은 고대 수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자 현대 수학자도 관심을 갖고 도전한 난제였던 것이다.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내놓는다. 2부의 주제는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생명의 미래’다. 합성생물학은 20
세기
까지 진행돼 오던 단순 교배나 유전자 조작의 단계를 넘어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21
세기
생물학으로 알려졌다. 저자는 합성생물학이 탄생한 배경에 대해 질병, 환경, 식량과 같이 인간이 직면한 원초적 문제의 ... ...
길이만 30km, 세계 최장 가속기 ILC
2014.08.28
공간을 지날 때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의 위치에 따라 전기장의
세기
가 달라진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다. 만약 입자가 정해진 궤도를 벗어나면 전기적인 힘을 가해 위치를 조정한다. 이 시스템의 강점은 전자의 궤도를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단위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