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꾸준한 공부를 하기 위해선 자신이 즐길 수 있는 동아리 활동도 필요해요. 저는 고등학교 2년 동안 축구동아리에서 활동했고,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동아리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힘든 수험생활에 활력소가 되기도 했고, 생산적인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 부담도 적었던 거 ... ...
- 살아있는 과학지식 얻는 덴, 과학동아가 최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내 별명이 21세기 선생님이었다”며 웃었다.“처음에 부임한 학교가 상업계 고등학교였는데 지금까지 연락하는 제자들이 ‘그때 배웠던 과학이 지금도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말해요. 과학과는 전혀 상관없는 직업인데도요. 만일 그때 교과서로만 과학을 가르쳤으면 아이들이 숨이 막혔을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커지죠. 센서가 수집한 정보는 ‘게이트웨이’라는 곳에서 모이고, 다시 병원이나 학교 등 정보가 전달되어야 하는 곳의 서버로 보내져요. 이 과정에서 해커들이 내 소중한 정보를 빼돌릴 수 있는 거예요.사물인터넷은 특정 컴퓨터를 좀비PC로 만들어 시스템 전체를 마비시키는 디도스 공격에 더욱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다루고 싶은지 의견을 냈다. 학생들은 “푸리에 변환은 영상 처리에 쓴다는데…”, “대학교에서 배운다는 공업수학에 도전해 보는 건 어때?”하며 난이도에 상관없이 관심 있는 주제를 쏟아냈다. 스스로 연구자가 돼 호기심을 꽃 피우다큐이디의 가장 특별한 활동은 매 학기마다 잡지를 직접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같은 여러 가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었다. 누가 가르쳐 준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앱 개발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이날 참가한 독자들은 대부분 토마스의 또래였다. 동갑내기 프로그래머 이야기를 듣고 독자들이 감탄하자, 오 교수가 물었다.“이 친구는 왜 ... ...
- [참여] 통계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그래서 제 또래의 친구들은 용돈을 얼마나 받는지 궁금해졌죠. 이런 생각에서 ‘우리 학교 학생들은 용돈을 얼마나 어떻게 쓸까?’라는 주제로 통계 조사를 하게 됐어요.Q 어떤 과정으로 대회를 준비했나요?A 처음엔 어떻게 조사를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어요. 어떤 항목이 필요한지 정리하고 나니 ... ...
- 학교 앞 문방구 주인 ‘사라 샤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기다리고 있었다. 한참 졸고 있던 중 드디어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저는 초등학교 앞에서 3대째 내려오는 문방구의 주인 ‘사라 샤프라도’예요. 얼마 전에 아빠로부터 이 가게를 물려받았죠. 그런데 막상 가게를 운영하려고 보니 이곳저곳 손 볼 것도 많은데다 물건 배치도 잘 못하겠어요. 도와 ... ...
- [Hot Issue] 한국말 일취월장 사랑이, 생각도 한국식으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길을 걷고 있던 중이었다’처럼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면, 독일어는 ‘나는 집에서 학교로 가던 중이었다’처럼 출발지와 도착지(즉 목적)에 초점을 맞춘다. 이중언어 사용자는 그 중간쯤의 특성을 보인다.아타나소풀로스 교수는 이중언어 사용자에게 아무 의미 없는 소리를 들려주거나 언어를 ...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형태소를 분석해 목적 언어의 문법대로 다시 조합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나는 학교에 간다”는 문장을 나는/학교/에/간다/로 나눠 I/school/to/go로 바꾼 뒤, 영문법에 따라 “I go to school”로 제시하는 방식이다. 엄격한 문법을 따르기 때문에 개발은 어렵지만,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통역비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것 같아 들어왔다가 후회하고 방황하는 학생들도 많습니다. 서울대를 포함해 많은 학교에 자유전공이 있어요. 일단 자유전공으로 들어와서 여러 기초과학을 공부하고 자신의 전공을 결정해도 늦지 않습니다. 또는 선택의 폭이 넓은 학과로 진학해 본인의 적성을 찾는 시간을 벌 수도 있습니다.Q ... ...
이전213214215216217218219220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