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인력선 ‘신동호’가 움직였다. 서울대 모형선박제작모임(이하 ‘모모’) 회원 5~6명이
태양
광으로 움직이는 ‘솔라보트’와 함께 배의 속도를 점검하느라 분주했다.공과계열 1~2학년 학부생들과 조선해양공학과 학생들 14명으로 구성된 모모는 1994년 생겼다. 모형 배에 관심을 가진 학생 5~6명이 ... ...
[천문]거대한 두 은하단의 합병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내지 않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MACS J0025.4-1222이라 불리는 이 은하단은 질량이 각각
태양
의 1000조 배에 이르는 작은 은하단 2개가 충돌하며 합쳐졌다. 두 은하단이 시속 수백만km로 충돌할 때 두 은하단을 이루는 물질(뜨거운 가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속도가 줄었지만(사진, 분홍색),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전공해 서로 다른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봅니다.”현재 프린팅 기법은 LCD 패널뿐 아니라
태양
전지, 반도체 회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김 박사는 우리나라야말로 프린팅의 원조라고 생각한다. 바로 인쇄술이 프린팅을 이용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수년 전 일본 과학자들이 프린팅의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90°-ф+23.5°이고, 동지일때
태양
의 남중고도는 90°-ф-23.5°이므로 하지와 동지의
태양
고도차는 47°다. 즉 ∠aPb = 47°다. 3. 싹트는 콩을 이용해 호흡률을 측정하기 위해 그림 (가)와 같은 장치를 한 뒤 30°C의 항온기에 넣어 두고 시험관 내 기체의 부피 변화를 조사했다. 그림 (나)는 시간에 따른 유리관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4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나가는 통로로 쓰인다.국제우주정거장폭 : 44.5m(데스티니에서 즈베즈다까지)73.15m(
태양
전지판의 폭)높이 : 27.6m질량 : 24만 5735㎏고도 : 340㎞공전주기 : 91분우주 임무를 완수하라!이소연 누나는 우주에서 머무는 열흘 동안 총 18가지의 과학실험을 했어. 학생들에게 우주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보여 ... ...
유기농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위해 갖가지 방법을 동원한다.
태양
열 증류기를 이용해 바닷물에서 식수를 얻고, 별과
태양
의 위치를 가늠해 선박과 비행기의 항로를 예측하는 등 저자의 기지가 아낌없이 발휘된다 ... ...
지구과학올림피아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kg/m3인 구형의 성운에서
태양
과 같은 질량의 별이 몇 개쯤 태어날 것인지 계산하시오. (단
태양
의 질량은 2×1030kg이고 1pc은 3×1013km이다.) 8. 반지름이 0.1광년인 거대한 성운이 100만 년 주기로 자전을 한다고 가정하자. 이 성운이 중력수축을 해 40AU 크기로 뭉쳐진다면 자전주기는 몇 년일까? 9. 그림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개막한 ‘사라고사엑스포’는 친환경을 내세우며 엑스포 기간에 소비되는 전력을
태양
광과 풍력발전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바이오디젤을 연료로 쓰는 친환경 ‘에코버스’를 운행했다. 그 중에서도 눈길은 끈 것은 기념품을 담는 쇼핑백이었다. 엑스포측은 친환경이라는 목적에 걸맞게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
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6배나 더 높아졌지요. 앞으로 나노막대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면 효율적인
태양
전지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연구단이 만든 나노막대 하나의 지름은 머리카락의 4000분의 1에 불과한 20nm(나노미터 1nm=10-9m)이고 길이는 100nm 정도다. 이런 막대를 빽빽이 배열했는데 1cm2 당 1000억~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플라스마 전류 300kA에 지속시간 3초에 도전한다.막 타오르기 시작한 한국산 ‘인공
태양
’의 불꽃이 세계 핵융합 연구를 이끄는 거대한 불길로 이어지길 기대한다.ITER, KSTAR에 ‘길’을 묻다지난 7월 15일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열린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시연회에는 미국과 일본, 러시아에서 온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