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과학적 안목 가진 지도자가 세계 이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진행중인 핫이슈들도 포함하고 있다. 사이언스는 두 후보가 답변한 내용을 2000년 10월 13
일자
에 8페이지에 걸쳐 소개했다. 이것을 보면 앞으로 미국에서 4년간 과학기술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다.과학기술은 어느 나라에서나 대통령 선거에서 찬밥신세였다. 그런데 미국의 경우 ... ...
돌고래 대화 엿듣는 잔점박이물범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잔점박이물범이 범고래의 소리만으로 위험을 감지한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11월 14
일자
에 발표했다.덱커 박사팀은 캐나다 밴쿠번 인근에 사는 바다표범인 잔점박이물범을 대상으로 범고래의 다양한 소리를 수중방송으로 들려주고 반응을 연구했다. 범고래는 물고기를 잡아먹는 집단과 ... ...
잡음이 몸 균형 유지에 도움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미세 진동을 주면 균형을 유지하기가 쉽다는 연구결과가 ‘피지컬리뷰레터스’ 11월 13
일자
에 발표됐다.미 보스턴대 제임스 콜린스 교수가 이끄는 의공학 연구팀은 ‘잡음공명’(stochastic resonance)이라는 복잡계 현상을 이용해 균형 유지와 잡음의 관련성을 조사했다.잡음공명은 무작위적인 잡음이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나타나는 이상탈의 현상으로 해석되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 매듭전문가들에 따르면
일자
형 매듭은 흔히 매는 십자형에 비해 보통 어린이들이 매기 힘든 매듭이다. 때문에 다른 누군가가 옷을 묶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또 한편에서는 태권도를 배웠던 개구리소년들이 도복을 묶으며 배운 ... ...
눈물 안나는 유전자 조작 양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물질은 예상과 달리 양파의 냄새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네이처’ 10월 17
일자
에 소개됐다.양파에 들어있는 알린은 양파를 자르거나 다질 경우 알리나아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알리신이라는 물질로 변화하는데, 알리신은 황을 포함한 단백질이므로 이 과정에서 특유의 냄새가 ... ...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우리은하 중심에 숨어있던 거대블랙홀의 꼬리가 밟혔다. ‘네이처’ 10월 17
일자
에는 우리은하 중심에 거대블랙홀이 존재한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를 포착했다는 내용의 논문이 발표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국제천문학자팀이 10년 동안 고생 끝에 거둔 성과다 ... ...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세균을 이용해 나노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미 과학원회보’(PNAS) 10월 7
일자
에 발표됐다.일본 임학연구소의 콘도 테츠오 박사팀은 아세토박터 자일리움(Acetobacter xylinum)이라는 세균을 홈이 패인 필름 위에 키워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진 완벽한 리본 구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 ...
현실의 법의학 vs 드라마 과학수사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이유는 무엇일까. 과학수사가 환상일까. 꼭 그렇지는 않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10월 21
일자
에서 연쇄저격사건과 관련해 최근 놀랍게 발전한 과학수사기법을 소개했다.저격현장에서 보기 흉한 납덩어리로 발견된 산탄을 실험실로 옮긴 후 현미경으로 분석하는 일은 기본. 실제로 미 법의학팀은 이 ... ...
광우병 메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박사팀은 광우병과 vCJD가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처음 밝혀 ‘사이언스’ 10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광우병의 원인은 프리온(prion)이라는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프리온은 다른 단백질처럼 세포의 소포체에서 만들어진다. 세포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중 잘못된 것을 제거하기 위해 ... ...
말라리아의 게놈 청사진 발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기생하면서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의 게놈 청사진이 ‘사이언스’ 10월 4
일자
에 발표됐다. 매년 3백만여명이 모기로 인해 사망하는데, 이번 게놈 발표는 이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과 살충제 개발을 이끌 전망이다. 한 가닥의 중심 도체(導體)와 이것을 둘러싼 절연된 외부도체로 이루어진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