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7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콜라의 밀도가 일반 콜라의 밀도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왜 다이어트 콜라의 밀도가 일반 콜라에 비해 작은 것일까? 다이어트 콜라의 밀도가 작은 이유는 바로 설탕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단맛을 내는 성질이 200배 정도 강하기 때문에 다이어트 콜라를 만들 때에는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모습 같거든요."문자와 수식을 무늬와 조각으로!다양한 분야의 학자들과 예술가, 일반인이 모여 수학과 과학, 예술을 융합한다고? 과연 브릿지 학회에서 만나는 융합 수학은 어떤 모습일까? 두 교수님의 연구를 통해 알아보자.유수민 : 사르한기 교수님께서는 페르시아 무늬와 모자이크를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모두 119개의 다면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그런데 웨인저가 새로 정의한 다면체는 일반 사람들은 물론, 수학자들조차 전개도를 찾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래서 웨인저는 컴퓨터 프로그램 개발자의 도움을 받아, 누구나 다면체의 전개도와 그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완성했다.이를 ... ...
- 코끼리로봇 코 구부리며 하는 말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모터 세 개 만으로 걷고 코를 움직이며 소리도 내는 코끼리를 만든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일반적으로 걷는 로봇을 만들려면 각 다리마다 모터가 하나씩 필요하다. 관절의 움직임이 중요하면 각 관절에도 모터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모터와 다리 사이에 뼈대, 톱니바퀴, 회전체 같은 다양한 구조를 ... ...
- [20세기의 수학자] 방랑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있었던 것이다.방랑의 자유인수학은 아이디어 교환을 통해 발전하는 속성이 있어서, 일반적으로 수학자가 다른 과학자보다 여행을 많이 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에르되시는 차원이 다른 타고난 방랑자였다. 옷가지 몇 개와 수학 노트를 넣은 여행가방 하나가 소유의 전부였던 그는, 전세계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빛이 더 많이 굴절되기 때문에 일반 무지개 안쪽에 더 작게 생긴다. 조건을 잘 맞추면 일반 쌍무지개와 소금물 쌍무지개, 이렇게 동시에 총 네 개의 무지개도 볼 수 있다(동영상 참조).물방울 없이 만드는 ‘유리무지개’물방울이 없고 각도가 42°보다 작아도 무지개를 만들 수 있다. 바로 ... ...
- 명문대 남녀 합격생의 반전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치료율이 높아지는 반전을 보인다.그 원인을 생각해보자. 이 실험 이전에 의사들은 일반적으로 방법A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었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가 조금 더 심각한 큰 결석에 대해서는 방법A를 주로 동원했고, 병세가 가벼운 작은 결석에 대해서는 방법B를 집중적으로 적용했다. 즉, 치료 ...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모래알 크기의 초소형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3D프린터는 평면(2D)에 잉크를 뿌리는 일반 프린터와 달리 공간에 재료를 쌓아 입체구조를 만들 수 있다. 입체구조의 재료가 되는 심지(필라멘트)가 뜨거운 노즐 사이를 지날 때 물렁물렁한 상태가 됐다가 급격히 식어 다시 딱딱해지는 원리를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반론도 만만치 않다. 대표적으로 GMO의 생태계 ‘오염’ 가능성이다. GM 연어가 탈출해 일반 연어와 교배하는 상황이다. GM 연어는 폐쇄된 양식장에서 자라게 되겠지만, 그동안 양식장을 탈출한 어류 사건이 많이 보고돼 있다. 예를 들어 2007년 6개월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는 10여만 마리의 양식 ...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촬영한 뒤 고유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뇌지도를 만들었다.뇌지도를 만들 때 일반적으로는 DTI(물 분자의 확산성 강조 사진)를 촬영해서 3단계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처리한다.뇌과학연구소는 처리 과정에서 2단계를더 추가해 훨씬 세밀하게 볼 수 있게 했다.이전까지 신경섬유를 5만 개 ... ...
이전213214215216217218219220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