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제기되고 있다. 바이리노는 자신의
유전자
를 숙주의 단백질로 둘러싸고 있다. 이는
유전자
를 자신의 단백질로 둘러싸고 있는 일반적인 바이러스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다.이밖에 정상 프리온이 감염 프리온의 형태로 변형되는 기전과 감염 프리온이 신경세포를 어떻게 죽이는지에 대한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것이다. 그러므로 생체시계
유전자
들은 세포분열의 진행을 조절하는 일종의 종양억제
유전자
로 작용할 수 있다.생체시계의 이해가 진일보함에 따라 최근에 의학계에서 ‘시간치료법’(chronotherapy)이 많이 논의되고 있다. 생체시계 주기에 따라 각종 인체질환의 진행정도나 발병 빈도, 약물치료의 효과 ... ...
자생식물에서 B형 간염 치료성분 추출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성분을 B형 간염에 걸린 나무두더지와 B형 간염을 일으키는 e항원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
재조합 쥐에게 투여했다. 두 동물 모두에서 e항원이 급격히 감소하고 e항체와 면역세포가 현저하게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 물질에 ‘화합물 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B형 간염 바이러스는 DNA가 2중의 단백질 ... ...
광우병 내성 소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감염이나 장기의 크기 문제를 해결했다. 거부반응은 돼지의 세포에 인간면역억제
유전자
를 삽입해 차단했다.문제는 무균 돼지를 복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어떻게 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는 점. 황 교수는“죽은 돼지들을 부검한 결과 폐에출혈이 있는 것으로 보아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호주 원주민은 비슷하게 짙은 피부색을 띄지만 지구상의 어떤 인종보다도 서로 공유하는
유전자
가 적다. 반면에 유럽의 백인과 아프리카 흑인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사촌간이다.유전학자인 미국 스탠포드대 노아 로젠버그 박사는 전세계 52개 지역, 1천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간 ... ...
돼지 신장 이식 원숭이 81일 간 생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당 성분은 면역을 증가시킨다. 연구팀은 돼지의 신장에서 이 당을 만들어내는 효소의
유전자
를 제거한 것이다. 연구팀이 만든 돼지는 실제 몸집보다 작기 때문에 신장의 크기가 인간과 비슷하다.연구팀은“이 연구가 발전되면 언젠가는 신장이나 심장과 같이 인간에게서 구하기 어려운 장기를 ... ...
2003년 최고 발견은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세포의 발생, 빛의 굴절이 보통 물질과 달리 거꾸로 이뤄지는 첨단물질, 인간의 Y염색체
유전자
해독, 그리고 새로운 암치료 요법이 10대 발견에 속했다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사람의 말을 더 잘 알아들을 수 있는 개체들이 선발됐으며, 이런 탁월한 능력이 개의
유전자
에 남게 된 것이라는 추측이다.그렇다면 개들끼리의 대화는 어떻게 이뤄질까. 개에게는 냄새 맡기가 개의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라고 알려져 있다. 사람의 경우에도 같은 사무실에 근무하는 여성들의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돌연변이는
유전자
자체의 변화에 의하여 일어난다 또 염색체의 일부가 잘려 없어지거나
유전자
가 새로 추가됨으로써 발생하는 유전적인 변화이다 천연적으로도 일어나지만 방사선을 쪼이거나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등 인위적인 영향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돌연변이는 보통 생식세포에서 ... ...
한국영장류연구소 출범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눈높이에서 보면 인간은 1천만년-5백만년 전에 침팬지와의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다.
유전자
의 98.4%를 침팬지와 공유하고 있으며 몸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뇌가 크고 두발로 걷을 수 있게끔 골격이 변한 대형유인원이다.선진국에서는 몇십년 전부터 영장류학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