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학문적인 성취도 위대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그로텐디크의 생각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많은 후대 수학자에게 큰 가르침이 될 것입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가 유한 개뿐인지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는지도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입니다.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는 아마추어 수학자의 기여로 재밌는 연구 결과가 나온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수학동아 독자들도 언제가 이런 기여를 할 수 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버너스리는 지금처럼 마우스와 키보드로 링크를 누르기만 하면 글과 영상, 사진 등을 볼 수 있는 웹사이트를 만들었지요. 그리고 1990년, 세계 최초의 웹사이트를 공개했어요.그는 이 기술에 특허를 내지 않고 모든 사람들에게 무료로 공개했어요. 이 덕분에 인터넷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발전할 수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더운 여름날, 에어컨을 틀고 10분만 기다리면 집 안이 시원해지는 걸 느낄 수 있어요. 그래서 에어컨은 ‘방(房)을 시원하게(冷) 만드는 기기’라는 뜻에서 ‘냉방(冷 ... 뜻한답니다. 이 옥(玉) 장식은 사람이 눈여겨볼 정도로 중요한 장식품이기 때문에 ‘놀라서 볼 경(睘)’이 쓰인 거예요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곳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 채굴되는 광물 243종 가운데 56종은 추메브 광산에서만 볼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7개 원소가 발견된 스웨덴 이테르비라는 작은 마을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원소의 성지’로 불리는 것처럼, 추메브 광산은 ‘광물 수집가의 성지’로 불린다. 지금은 대량 상업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월면(月面)연합은 고요의 바다 전역을 폐쇄한 이유가 원자력발전소 고장으로 방사능 누출 사고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발표했다. 중국령 소행성대 자치정부는 세레스 ... 여겼을지도 모른다. ‘못 정하겠으면 대신 지어줄까?’성미 급한 멀린이 물었다.‘볼드모트 어때?’내가 대답했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곡 ‘이클립스(일식)’입니다. 일식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나란히 오면서 지구에서 볼 때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입니다. 노래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이 ‘태양 아래에서서는 조화를 이루지만, 태양이 달에 가려졌다’는 가사로 끝납니다. 그런데 다시 심장소리와 함께 한 남성의 ...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말했답니다.동아사이언스 기자들의 이 활동은 7월 20일까지 다음 스토리펀딩에서 자세히 볼 수 있어요. ‘1여행 1드림 프로젝트’로, 한 번 여행을 떠날 때마다 한 번의 봉사활동을 하자는 캠페인이랍니다. 관심 있는 친구들은 다음 스토리펀딩 사이트를 찾아 꼭 한번 읽어 보세요~!※ 다리 밑 학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팔이 4개가 만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인간 정자의 길이는 약 0.05mm, 현미경 없이는 볼 수 없는 크기입니다. 반면 난자의 지름은 0.1~0.15mm입니다. 정자보다 2~3배가량 크죠. 난자의 세포질 안에는 각종 세포소기관을 비롯해 RNA와 단백질이 가득 차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란의 유전물질은 아빠의 ... ...
- [수학뉴스] 동그라미 모양의 숫자 ‘0’, 그 뿌리는 3세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보관하고 있었습니다. 이 문서에는 제곱근, 지수 등 다양한 수학 계산을 찾아 볼 수 있는데, 0은 102나 200처럼 자릿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연구팀은 “바크샬리 필사본에 나타난 0을 오늘날 사용하는 기호 0의 기원으로 추정한다”면서, “기호뿐 아니라 숫자 0의 의미를 발전시킨 것도 ... ...
이전213214215216217218219220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