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곳은 해저에 쌓인 침전층에서 황화수소나 메탄, 탄화수소가 풍부한 유체가 스며 나온다. 덕분에 열수지역 생태계처럼 화학합성에 기반을 둔 관벌레나 홍합 같은 생물이 살아가고 있다.화학합성생태계의 또 다른 유형은 해저에 가라앉은 고래 사체에서도 발견됐다. 앨빈 호는 1987년 캘리포니아 앞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위치에서 분화해 경사도가 매우 완만한 순상화산체를 만들었다. 점성이 낮은 마그마인 덕분에 바닥 길이는 130~150km 정도로 넓지만 경사각은 5~6°, 중심부 높이는 300m에 불과했다.약 1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는 기존 현무암질 마그마가 점성이 높은 조면암과 알칼리 유문암질로 바뀌었다. 마그마 ... ...
- 바퀴벌레는 의외로 깨끗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잘 먹고 잘 살잖아!에헤헤, 저희의 최고 능력이 환경에 대한 적응력 아니겠어요~. 덕분에 약 3억 5000만 년 전, 고생대 석탄기에 등장한 이후 모습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며 지금까지 이어져 왔어요. 저희는 못 먹는 게 없을 뿐더러, 몸속에 저장해 둔 영양분을 이용해 3개월 정도는 아무것도 먹지 않고 ... ...
- [20세기의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허락하지 않았다. 뇌터도 아버지인 막스 뇌터가 에어랑겐 대학의 수학교수였던 덕분에 수학을 일찍 접할 수 있었지만, 대학입학이 불가능해 에어랑겐 대학과 괴팅겐 대학의 청강생 신분에 만족해야 했다.여성의 대학입학이 허용되자, 뇌터는 1904년에 에어랑겐 대학에 정식으로 입학했다. 그리고 폴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게임에서 주인공이 낯선 길을 찾는 능력을 설계할 때 사용된다. 휴~, 어쨌든 가이 녀석 덕분에 무사히 새 보금자리를 얻었군. 하지만 널 아직까지 우리 가족의 일원으로는 받아들일 수가 없어! 착각하지 말라고!그루그, 왜요? 제가 없었다면 여기까지 올 수 없었을 걸요? 온 가족에게 도움을 주려고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이론으로 발전했다. ‘뻥’이라는 조롱까지 들은 빅뱅 이론은 신이 났다. 빅뱅핵합성 덕분에, 이제 공상 같은 면을 벗고 뭔가 예측과 관측, 증명으로 이어지는 ‘이론다운 이론’이 되는 듯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진척은 느렸다.빅뱅핵합성 이후의 우주는 극적인 사건 없이 비교적 잔잔한 ... ...
- 나누는 기쁨, 더하는 즐거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이야기가 담긴 주간지로, 처럼 수학에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만들었다. 덕분에 송곡여고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고 한다.그런데 시그마 수학지는 누가 만드는 걸까?우리는 수학 홍보대사송곡여고 수학동아리 ‘시그마’는 생긴 지 4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전교생이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만들 수 있다.D-day 로슬린 성당의 암호를 풀다!거리의 악사들에게 얻은 결정적인 힌트 덕분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마을 사람들이 로슬린 성당을 ‘암호 성당’이라 부르는 이유가 있었다. 이제 성당 내부에서 ‘악보’만 찾으면 된다! 마지막으로 문지기 모네타 씨의 도움이 절실하다. 그런데 ... ...
- [W5 코드 브레이커] 세계대전을 호령한 암호 장치, 에니그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톱니바퀴가 5개가 되면 암호화 하는 방법은 26⁴=456,976가지나 된다.이런 강력한 보안성 덕분에 에니그마 기계가 만든 암호는 한동안 난공분락의 요새였다. 독일군은 에니그마 기계로 만든 암호를 모스부호로 바꿔 전송했는데, 적군이 이 무선통신 내용을 도청한다고 해도 암호문을 해독할 수 없었기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여 년 간 전국을 헤매며 조사를 한 손 교수와, 최근 조사를 하고 있는 김박사 같은 연구자 덕분에 기틀이 많이 다져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천릿길입니다. 당신을 이해하고 가까이에서 만나려는 사람이 더 늘어나, 체계적인 연구와 보호가 가능해지길 기대하며 동굴을 나섭니다.제 귀갓길을 ... ...
이전213214215216217218219220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