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d라이브러리
"
작업
"(으)로 총 3,148건 검색되었습니다.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12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파일이 많다보면 여러 개의 파일을 대상으로 한꺼번에
작업
을 해야 할 필요성이 느껴진다. 즉 30개의 파일이 있는데 여기서 20개는 지우고 나머지 10개는 내버려 두기로 한다. 이럴 때 한가지 파일씩 지우게 되면 20번 명령을 내려 개별파일을 하나씩 처리해야 한다. 이런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11
생생히 체험한다. 원양어선의 조타실 갑판 등을 실제로 옮겨 놓았으며 각종 어구 등 어로
작업
에 필요한 장비들을 만져볼 수 있다.다음으로 '바다목장'은 수산양식의 새로운 기술을 소개한다. 여기에서는 인류가 앞으로 어떻게 바다를 이용할 것인가를 배운다.이어 '접촉수조'에 들어서면 안내원의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11
쌀칩도 나왔다. 쌀막걸리도 그런 예의 하나인데 그동안 쌀막걸리의 생산을 일일이 수
작업
으로 해왔기 때문에 인건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그런데 최근 쌀막걸리 제조의 원료처리 및 자동화시스템이 개발됐다. 발명자는 김봉로씨.이미 특허등록된 이 자동시스템은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11
조직배양의 개발자인 로스 해리슨과 발생학의 체계를 세운 독일의 한스 스페만의 연구
작업
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양서류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최근 네이처라는 잡지에서 인디아나 대학의 생물학자인 존 필립스와 크리스 볼랜드는 동물들이 어떻게 '자기나침반 본능'을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11
말아 방을 만든다. 앞면과 맨 뒤는 원형의 잎으로 입구를 막아 놓는다. 잎을 나르는
작업
이 일단 끝나면 애벌레의 먹이가 될 꽃가루와 꿀을 모아 경단으로 만들어 저장하기 시작하며 그곳에 하나씩 알을 낳는다. 부화된 애벌레는 약 1백일 동안 꽃가루 덩이의 먹이를 먹고 자라다 그곳에서 번데기로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11
미국의학협회와 공동으로 가정의료서 및 의학사전을 CD롬으로 발간하기로 한 바 있어 이
작업
에 마이크로소프트가 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이외에도 프로그램제작 정보를 종합한 '프로그래머라이브러리' 등 다수의 CD롬 타이틀을 제작한 바 있다.지난해 미국내 CD롬 타이틀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11
지적함으로써 명령을 실행하는 메뉴방식이 등장했다. 여기서 더 발전한 것은 화면상에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심볼(아이콘이라고 한다)을 표시해 두고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화살표를 움직여 원하는 그림을 지적해주면 그 명령이 수행되는 방식이다. 여기서 전자를 ... ...
생명 탄생에 중력이 필요?
과학동아
l
199211
수정후 0일된 것을 추가, 엔데버호의 승무원이 보온실에서 꺼내 알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작업
을 했다.수정후 0일된 달걀중 7개가 언제 죽었는지 그 조사 결과를 보았다. 수정후 경과시간 1일이내가 2개, 3일 이내가 3개, 4.5일과 5.5일 된 것이 각각 1개씩 무중력상태에 이르기전까지 살았다.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11
바탕으로 좀더 깊이 있는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그간 소홀히 했던 대중화
작업
을 체계적으로 시도해보려 합니다." 올해 회장으로 선출된 김용현(48)씨의 말이다.전체적인 식물 이름 아는데 10년이 걸렸으니 이제는 세부 전공을 정해 좀더 깊이 연구 해보자는 것이다. 양치류라든가,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11
이를 이용한 과학기술은 인류의 문명이기와 복지를 제공해 주고 있다.생명의 신비 규명
작업
은 19세기 중엽 멘델의 유전법칙 체계화와 미셔의 유전물질 탐구에서 그 실마리를 찾기 시작했다. 그후 1백년이 지난 1950년대에 와서 유전물질이 DNA라는 화학물질임을 알아냈다. 1960년 대에 이 DNA의 구조가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