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3,91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08
한다. 어린아이가 주사를 맞을수록 무서워하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미국에서 편도체가
손
상된 사람에게 공포자극을 줬더니 일반인보다 자율신경계 반응이 훨씬 덜 나타났다. 반대로 어떤 대상에 대한 공포증이 있는 사람에게 그것을 보여주고 뇌를 촬영한 결과 편도체가 일반인보다 더 활발히 ... ...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08
윙~윙~, 철커덕. 좁은 공간에 가득 들어찬 거대한 기계들이 굉음을 내며 쉴 새 없이 돌아간다. 분주히 움직이는 사람들의 작업복은 염료가 튀어 ... 않을까. 염료가 담긴 거대한 기계 대신 디지털 염색용 프린터가 설치되고, 주인공 디자이너들은
손
에 초크 대신 마우스를 쥐고 있을 것이다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08
넘는 적성검사 프로그램이 대학입시를 앞두고 진로선택 문제로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손
짓하고 있다. 수시입학제가 도입된 뒤로 ‘겨울=입시철’이란 등식이 깨지면서 이 열풍은 한동안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덩달아 300여개의 심리테스트 웹사이트들도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지난해의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08
미래 기술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와이어드넥스트 2005’가 지난 6월24일~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세계 각국의 100여개 첨단 연구소와 기업 ... 준비가 돼있다. 아직 생산 단계는 아니지만 입체를 감지하는 시각 기술과 정밀 작업이 가능한 로봇
손
이 새로 개발됐다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07
원리에 친숙해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 대회에 도전하는 한국 학생들내
손
으로 만든 로봇을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 보면 어떨까. 여러 인터넷 사이트가 방대한 양의 마인드스톰 예제와 각종 팁을 제공하고 있지만, 점점 능숙해지다 보면 자신의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지기 마련.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7
안 된다는 실험 조건을 어긴 점이 아쉬웠어. 공을 움직이게 한 외부 힘은 진현호 친구가
손
으로 누른 힘이었으니까 말이야. 하지만 용수철의 탄성을 공에 효과적으로 이용한 아이디어는 놀라워. ‘용수철과 고무의 결합이요!’용수철 고무공김보경고무의 탄성 덕분에 잘 튀는 공에 용수철을 붙이면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07
폭약을 발명한 바이츠만 박사가 예수가 탄생한 성지 팔레스타인을 다시 유대 사람의
손
으로 회복하려는 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두 사람은 이번에 예루살렘에 설립한 유대 대학의 자본금을 모집하기 위하여 미국에 왔다. 유대 대학이 세워질 위치는 예수가 산상복음을 전한 감람산으로, 1914년에 사서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07
반영한 것이었다. 책의 세로본능은 기능성을 고려한 측면이 크다. 세로로 긴 책들은
손
에 들고 볼 수 있어 이동성이 좋다. 그래서 대개 성인들을 위한 책은 세로가 많다. 반면 주로 한 곳에 놓고 보는 어린이 책은 가로로 긴 경우가 많다. 피봇 기능 역시 각종 문서가 대부분 세로로 길고, 웹사이트를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7
로마 신화, 셜록 홈즈, 심청전, 콩쥐팥쥐 등 여러 종류의 책을 읽었는데 너무 재미있어
손
을 뗄 수가 없었다고 해요. 이렇게 책읽기를 무척 좋아했기에 초등학교 3학년때부터는 글짓기에도 도전을 했지요. 우연히 글짓기 반에 들게 되었는데 글짓기를 잘 한다는 칭찬도 많이 받고 글짓기 대회에서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07
경고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번햄연구소 이반 스나이더 박사는 “아직까지 줄기세포는
손
상되거나 잘못된 세포를 다시 회복시키는 단백질인 ‘샤페론’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세포를 아예 대체한단 뜻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래도 불과 몇 년 사이 줄기세포 덕분에 난치병 치료에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