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4,01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IL 실패했지만 더 싸고 빠른 우주탐사 모색한 가치있는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점을 축하하고 싶다”고 했다. 지금까지 달 표면 착륙에 성공한 국가. NASA 제공. 천문
학자
이자 학술지 ‘사이언스’의 기자로 활동하는 킴벌리 카르티에 박사는 자신의 트위터에 “베레시트의 착륙 실패 소식에 무척 슬펐지만 스페이스IL의 믿기 어려운 여정과 놀라울 정도의 노력이 매우 ... ...
인류 앞에 베일 벗은 블랙홀...“다음 목표는 동영상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에딩턴은 이 장면을 관측해 이론을 증명했다. 100년 전인 1919년 영국 천체물리
학자
아서 에딩턴의 일식 관측 영상이다. 에딩턴은 일식 때 태양 주변에서 관측되는 별의 위치를 태양이 없을 때의 위치와 비교해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했다. 100년 뒤. 이번에는 태양보다 훨씬 강한 블랙홀의 ... ...
[블랙홀 첫 관측]인간이 상상한 각양각색의 블랙홀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X-1을 나타냈다. NASA 제공 영화는 아니지만 이번 첫 관측 영상이 공개되기 전까지 과
학자
들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상상력을 동원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964년 발견된 블랙홀 백조자리 X-1를 한가운데 검은색 구멍을 가진 붉은 원반으로 표현했다. 백조자리 X-1은 태양에서 약 6100광년 거리에 ... ...
"기초과학의 최전선을 논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참석한다. 클래리베이트애널리틱스가 발표한 화학, 재료과학, 물리학 분야 2018 피인용
학자
로 꼽힌 페이동 양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 교수와 리튬이온 전지 분야 권위자인 이 추이(Yi Cui) 스탠퍼드대 교수 등이 연사로 나선다. 올해 마지막 IBS 콘퍼런스는 11월 4일부터 7일까지 대전 IBS ... ...
[블랙홀 첫 관측]천문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제시한 일반상대성 이론을 증명하고 얼마전 타계한 세계적 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이 예측한 사건의 지평선을 직접 관측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EHT는 아타카마 밀리미터 서브밀리미터 전파간섭계(ALMA), 아타카마 패스파인더(APEX), 유럽 국제전파천문학연구소(IRAM) 30미터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는 1974년 미국국립천문대의 천문
학자
브루스 발릭과 로버트 브라운의 관측에 의해 그 존재가 예측됐다. 이 블랙홀은 이후 천체의 운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증명됐다. 2002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궁수자리 A* 근처 별의 운동을 관측해 은하 ... ...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0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프로젝트의 첫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천재 물리
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빛에 중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예고하며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보인 지 100년이 넘어서야 첫 이미지가 공개되는 것이다. 블랙홀은 관측이 어렵다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
학자
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받는다. 태양 질량의 수백억 배 크기의 초대질량블랙홀도 우주에는 존재하는 것으로 과
학자
들은 생각하고 있다. 그간 이론과 간접 관측으로만 존재를 추정해 오던 블랙홀이 10일 밤 처음으로 관측 결과와 함께 모습을 드러냈다. 이제 블랙홀도 직접 관측을 통해 연구할 수 있는 시대다. 처음에는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Papilionidae) in Fragmented Landscape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
학자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 ...
"잊혀진 수
학자
이임학을 아십니까" 초대과학기술 유공자 공훈록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등이 포함됐고, ‘엔지니어링-대한민국의 기틀을 닦다’ 분야에는 한국 1세대 조선공
학자
김재근 서울대 명예교수와 한국 전기공학 박사 1호 한만춘 연세대 명예교수 등이 선정됐다. 공훈록에는 신성철 KAIST 총장과 유영숙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책임연구원, 김도연 포스텍(POSTECH) 총장의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