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문일답]"3단 헬륨 탱크 이탈 문제 스페이스X도 겪어"..."5월 발사는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1.12.29
실제로 헬륨탱크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있는데 그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은 약 405㎏까지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부력이 탱크를 지지하는 힘보다 더 컸기 때문에 지지력을 이기고 탱크를 부상시켜서 탱크가 산화제 탱크 내에서 위로 떠 오르게 되었습니다. ... ...
누리호 첫 발사·현대차 전기차 전용 플랫폼…올해 국민 웃고울린 10大 과학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9
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400여 종 이상 전 세계
최대
규모 3차원 암 게놈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에 발표했다. 이관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팀의 소변검사로 전립선암을 20분 만에 진단하는 기술과 임선아 ... ...
누리호 3단 산화제 탱크 설계 결함 발견…내년 5월 '발사 불가' 하반기로 연기
2021.12.29
단위, 1G는 지상에서 중력) 가속도가 발생했다”며 “지상 상황인 1G 부력만 고려했고
최대
가속도인 4.3G 부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실수가 있었다”고 말했다. 헬륨탱크 고정 지지대는 405kg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는데 이번에는 부력으로 482kg가 누르는 힘이 발생했다는 설명이다. 고정환 항우연 ... ...
미국 코로나19 확진 후 5일 뒤 증상없으면 격리 해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8
가지 조치는 모두 오미크론 변이가 미국 전역에 확산하는 가운데 사람들이 언제, 얼마나
최대
로 감염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신 과학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추가 접종자의 경우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도 백신의 효능이 어느 정도 나타나기 때문에 격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CDC는 ... ...
포스텍·KAIST·KIST 등 2년만에 열리는 CES 현장서 혁신기술 뽐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8
에 부스를 차린다. CES는 전 세계 내로라하는 테크기업들이 참가해 기술력을 뽐내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다. 플라스크는 이곳에서 카메라 한 대로 모션 추출과 편집을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전시한다. 플라스크는 “누구나 웹캠이나 스마트폰으로 정교한 3차원(3D) ... ...
[인간·공감·AI](끝)일상에서 만나는 AI를 만드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같은 기술을 개발중이다. 최 교수는 “AI 기술들은 주로 연구실 환경에서 성능을
최대
로 끌어올리는 연구를 통해 개발된다”며 “연구실 환경이 실제와 간극이 있으니 점차 좁혀가면서 연구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 세계 AI 연구가 경쟁 속도를 높이는 상황에서 AI 연구 우위를 ... ...
2022년 인류가 다시 달을 향한다...코로나 백신 업그레이드에도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CERN 제공 물리학 분야에서는 긴 휴식기를 마치고 돌아오는 세계
최대
실험장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스위스 제네바 인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 설치된 LHC는 입자를 빛에 가까운 속도로 올린 뒤 충돌시켜 빅뱅 직후에 우주에 있던 입자를 생성해 ... ...
우주 기원 밝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마침내 우주로 떠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6
우주망원경의 상상도. NASA 제공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세계
최대
규모 차세대 우주망원경이다. 1.3m 크기 육각형 거울 18개를 벌집 형태로 이어 붙인 주경의 지름은 6.5m이며 4개의 적외선 관측 장비를 갖췄다. 태양열과 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패막은 가로 21m, 세로 1 ... ...
미리 보는 2022년 10대 우주 뉴스
2021.12.25
0회 이상 반복 발사해 안전성을 검증한 후 우주비행에 도전할 계획이다. 스타십의 1회
최대
탑재 중량은 150t으로 현존하는 모든 로켓을 압도한다. 한번 발사에 소형위성 수백 개를 우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스타십이 상용화되면 세계 우주시장의 판도가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소형 위성 ... ...
우주 기원 찾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25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달려 있다. 이 카메라는 목성의 달에 있는 촛불을 감지할 수 있을 만큼 민감하다.
최대
1000광년(1광년은 약 9조5000억km) 거리에 있는 행성에서 산소 분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성능으로 제2의 지구도 탐색한다. 지구상에 설치된 천문대나 허블우주망원경으로는 불가능했던 관측이다. 천문학계는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