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이런 게놈은 없었다…컴퓨터로 디자인한 인공게놈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일도 쉽지만은 않았다”며 “DNA 사슬이 스스로 엉키면서 고리나 매듭을 형성하거나, DNA
분자
끼리 서로 들러붙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 결과 원래 세균이 갖고 있던 DNA 염기서열 80만 개 중 6분의 1 이상이 새로운 것으로 바뀌었다. 비트 크리스틴 교수는 "카울로박터 ... ...
시각, 청각에 이어 후각도 줄기세포로 살리는 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슈보브 터프츠대 의대 발달
분자
및화학생물학과 교수는 "이 세포들이 자라는 환경에 있는
분자
들이 무엇인지 밝혀냈다"며 "줄기세포들을 시험관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배양한 세포들은 휴면상태였다. 연구팀은 레티노산 등으로 세포를 활성화시킨 뒤 후각신경에 이식했다. 그 결과 ... ...
'콜라 암 유발설 vs. 암 억제설' 논란 미궁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같은 청량음료가 대장암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윤지혜 미국 베일러대 의대
분자
∙인간유전학과 교수 연구팀은 고과당 콘시럽이 대장암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2일자에 발표했다. 고과당 콘시럽은 콜라를 비롯해 각종 청량음료의 성분으로 ... ...
[부고] GIST 초대원장 하두봉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3.28
석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도호쿠대에서 이학박사를 취득했다. 모교인 서울대
분자
생물학과에 1959년 부임하며 40여 년간 연구현장에서 지냈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학장과 부총장을 지내고 1996년부터 명예교수로 재직했다. 고인은 1993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초대 원장에 선임돼 학교 건물 신축과 ... ...
우주 극한환경서 살아남은 고세균 화성서 발견될까
연합뉴스
l
2019.03.27
별도의 샘플 준비 없이 바로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레이저빔으로
분자
의 진동을 일으켜 분석하는 라만분광법을 이용해 화성 표면의 샘플을 파괴하거나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생명체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DRL은 또 바이오멕스 결과는 우주의 극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망막에 있는 특정 세포에 크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한다. 크립토크롬은 FAD라는
분자
를 감싸고 있는데, 수정체를 통해 망막에 도달한 파란빛을 FAD가 흡수하면 전자 하나가 튀어나간다. 그러면 크립토크롬의 아미노산 트립토판에서 얽힌 전자쌍 가운데 하나가 이동해 빈자리를 메운다. 얽힘 ... ...
신재생에너지의 ‘아킬레스건’ 저장문제 연료전지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전기에너지가 투입돼 세라믹 촉매를 통해 물
분자
를 수소이온(양성자), 전자, 산소
분자
로 분리한다. 이때 나온 전자는 연료전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만들어낸다. 역으로 연료전극으로 이동한 전자는 양성자와 만나 수소를 만들어낸다. 남는 전기로 수소를 만들고 이 수소를 연료전지 연료로 만들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0%쯤 더 많았다. 특히 과일의 향기와 맛, 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지배했다. 주요 향기
분자
인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89%, 달콤한 과당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95%, 빨간색을 내는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89%를 숲딸기 게놈이 맡았다. ... ...
“유독한 환경-스트레스가 치매 일으켜” 류훈 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한층 더 깊이 파고들어 갔다. 실제 환자의 임상 사례를 거슬러 올라가 뇌 속 유전자와
분자
의 변화를 연구했다. 그는 환경이 ‘DNA를 읽고 쓰는 법’을 바꿨을 가능성을 살폈다. 똑같은 책을 주고 집게로 페이지 여기저기를 읽지 못하게 집으면 읽는 내용이 바뀐다. 우리 몸의 DNA도 마찬가지여서 같은 ... ...
전이성 위암 발병 원인 유전자 기능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상당히 나쁘다. 암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이 활용되고 있다. 생화학
분자
수준에서 전이성 위암의 원인과 치료 표적을 발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최경철 울산대 교수와 윤호근·정재호 연세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위암 전이를 유발하는 원인인 ‘EPB41L5’ 유전자의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