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만들 수 없는 책이라는 자부심이 깔려있다.좋은 수학 책을 고르는 방법역시 수학은
조금
어려워하는 기자가 ‘좋은 수학책을 고르는 방법이 있느냐’라는 질문을 하자 양 부사장은 단번에 답을 알려줬다. “책을 많이 사서 봐야 좋은 책을 고를 수 있습니다.”누구나 처음부터 잘할 수는 없는 것처럼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건강과 수명을 연구해온 영국 런던대의 유행병학자 마이클 마못 교수의 결론은
조금
달랐다.공무원의 건강에는 부의 규모보다 사회적 지위(격차)가 더 중요했다는 것이다(마못 교수의 연구는 정부 건물이 모여 있는 거리의 이름을 따 ‘화이트홀 연구’라고 불린다).마못 교수팀이 40~64세의 런던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선인장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낮에도 추운 겨울은 선인장이 성장을 멈추고 쉬는 ‘휴면기’예요. 이땐 물을 가끔, 아주
조금
씩만 주세요. 잘못하면 뿌리부터 썩어서 죽을 수도 있어요. 또 주변의 온도가 5℃ 밑으로 내려갈 정도로 추워지면 선인장이 버티기 힘드니 따뜻한 실내에서 보살펴 주세요.화분에 담긴 선인장은 작은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됐죠. 저도 유치위원으로 참여해서 힘을 보탰답니다. 이렇게 한국이 세계 수학계에서
조금
씩 인정받는 모습을 보는 것이 제게는 큰 보람이랍니다.이제 한국은 제게 제2의 고향이 되었습니다. 특히 맛있는 한국음식과 한국 술을 정말 좋아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즐겨 먹는 음식은 감자전이에요.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앞으로의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계속 디오라마 사진을 작업할 계획인데, 이번에는
조금
방향을 바꿔서 성인들에게 맞는 주제로 작업해 보려고 해요. 이미 구상해 놓은 아이디어도 있어요.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작업이 완료되면 공개할 테니 기대해 주세요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심리학자 장 피아제도 수학논문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다는 사실에는 수학자들도
조금
놀랄 것이다. 이 유명인사 들로부터 박형주 교수까지 공저거리를 조사해 본 결과는 오른쪽 표와 같다.박형주 - 아인슈타인 4, 박형주 - 맥스웰 6, 박형주 - 파인만 7, 박형주 - 할데인 7박형주 - 센 6, 박형주 - 굿만 ... ...
과학적으로 다이어트하기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예상될 경우 사전에 체중을 좀 감량하기. 다섯째, 체중이 갑자기 줄었다면 먹는 양을
조금
늘리기다.6. 다이어트의 기본. 먹은 양 정확히 체크하기‘포만감’은 어떻게 결정될까? 먹은 양이 물론 중요하겠지만 ‘스스로 얼마나 많이 또는 적게 먹었다고 여기는지’에도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똑같은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조사하는 장치”라고 말했다. 식물이 광합성을 많이 하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조금
이나마 줄어든다.그러나 영구동토층에서는 또다른 온실가스인 메탄이 점점 더 많이 나올 수 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 효과가 21배나 높다. 노희명 서울대 농생명공학과 교수는 “툰드라 지역은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내가 다른 친구보다 얼마나 잘하느냐 못하느냐로 평가 받거든요. 저는 이런 풍토에서
조금
자유로워졌으면 좋겠어요. 수학자로서의 삶을 살다 보면 나보다 잘하는 친구는 공동 연구의 대상이거든요. 물론 학창시절에는 공동연구라는 것이 불가능하죠.하지만 그 친구와 함께 공부하며 모르는 것에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바다 날씨는 알 수 없다고 말한다. 눈앞에선 바람이 잔잔하고 햇볕이 내려쫴도 배를 타고
조금
만 나가면 파도가 거셀 수 있다. 기상 쓰나미 역시 이럴 때 발생한다. 먼 바다에서 저기압이 생기면 상승기류가 생긴다. 기압이 낮은 만큼 해수면 역시 높아지면서 파도가 생긴다. 이 파도는 저기압과 함께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