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감상하며 즐기기 위한 식물로 재배됐다. 장미는 인간 세계에 최초의 화훼
전문
가를 탄생시켰다. 1844년에는 초보 원예가를 위해 최초의 ‘장미 안내서’까지 나왔다. 1860년대 어느 날 영국 최초로 열린 장미 전시회에는 자신이 사랑하는 장미를 서리로부터 보호하려고 담요를 가져온 이마저 있었다.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과학연구 발표 관행이 아니라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의의로 이 분야의
전문
가들은 연구팀이 그만큼 확신에 차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연구팀이 하루라도 빨리 대중에게 알리고 싶어 기자회견을 미리 연 것 같고, 네이처 발표도 시기의 문제일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핀란드처럼 심지층처분 방식을 채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아직 심지층처분법이
전문
가들 사이에서는 지지를 받고 있고 심층시추공처분법은 원자력 산업계나 연구계의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상황입니다.”심시추공처분법이 대안 기술로 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이 방법의 장단점에 대한 ... ...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수 있습니다.”정의승 고려대 산업경영공학부 교수가 말했다. 그는 인간공학적 설계
전문
가로, 14년째 국내 자동차회사에 기술자문을 하고 있다. 자동차는 우리가 늘 쓰는 기계이므로 인체와 심리를 고려한 설계가 꼭 필요하다.코너를 돌 때 시트가 ‘변신’한다인간공학적 설계의 가장 중요한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저장시설에 대한 수용성과 이해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오고 있다고
전문
가들은 전한다. 이미 원자력 관련 시설에 일상적으로 접하고 있어 원전이 위험하다는 인식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덜하기 때문이다.“사용후핵연료 문제를 더 이상 덮고 가기는 어렵습니다. 이제는 구체적인 계획을 ... ...
발모제 먹어도 성욕 감퇴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발기부전 등 성기능 저하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 꽤 있다.이런 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
전문
가들은 약이 해롭다는 믿음으로 인해 실제 안 좋은 효과가 발생하는 ‘노시보 효과’ 때문이라고 말한다. 노시보 효과는 약효가 전혀 없는 가짜 약이라도 진짜 약인 줄 알고 먹으면 심리적 효과 때문에 ... ...
400년 만에 ‘新다면체’ 발견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다면체는 등장하지 않았다. 이번에 확인된 골드버그 다면체는 네 번째 형태인 셈이다.
전문
가들은 이번 발견으로 골드버그 다면체와 비슷한 무한개의 다면체가 새롭게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다면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도 유사해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발표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서 운영하는 ‘조류인플루엔자와 야생조류 과학특별
전문
위원회’도 전혀다른 가능성을 제기했다. 고병원성 AI가 대부분 가축 조류 농장에서 발생했다는 외국의 사례를 들며 “이번 사건도 닭·오리를 키우는 농장의 공장식 집단사육 시스템에서 바이러스가 진화한 뒤 ... ...
간질과 ‘코 다 페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굿닥터’같은 의학 드라마의 주인공은 왜 늘 의사일까요? 식은땀을 흘리며, 어려운
전문
용어들을 뱉어가며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선생님은 참 멋있지요. 하지만 자신의 몸에 나타나는 문제들이 어찌된 것인지 제대로 이해할 길 없이, 무뚝뚝한 의사 선생님의 해결만을 기다려야 하는 환자 ... ...
진실 혹은 거짓 달 미스터리 7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저는 지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나와 있는 과학미스터리
전문
기자 이윤선입니다. 2월 14일 정월대보름을 맞아 오늘 제가 풀어드릴 미스터리는 바로 ‘달’입니다. 지난 2013년 옆 나라 중국이 달 탐사선을 달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고, 우리나라도 2020년 달 탐사선을 보내는 큰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