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12건 검색되었습니다.
낚시갔다가 낚아 올린 거대한 금붕어
팝뉴스
l
2020.12.14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한 호수에서 최근 잡힌 것이다. 어항 속 금붕어와 모양은 같은데
크기
는 거대하다. 낚시꾼은 금붕어를 먹을 수는 없어서 돌려보낼 생각이었다고 하는데 금붕어가 금방 죽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3시간 걸리던 반도체 패키징 검사 16분으로 줄였다
연합뉴스
l
2020.12.14
한 번에 관찰할 수 있는 면적은 100배 더 넓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가로 1㎜, 세로 1㎜
크기
반도체 패키징 이미지를 250㎚ 이하 분해능으로 16분 만에 검사할 수 있다. 2018년 기술 기준 검사 시간(3시간)의 12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 안희경 선임연구원은 "반도체·디스플레이의 표면 검사 등 ... ...
약 5만년전 경남 합천에 200m 운석이 떨어졌다…한반도 첫 충돌구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운석 충돌구 규모로 운석의
크기
와 충돌 당시 에너지를 예측한 결과 운석은 직경 약 200m
크기
로 추정됐다. 이 때 발생하는 에너지는 1400메가톤(Mt, 1Mt은 TNT 100만t을 폭발시켰을 때의 폭발력)에 해당된다. 연구를 이끈 임재수 지질자원연 책임연구원은 “지질학계의 미스터리였던 적중-초계분지가 ... ...
피라미드 꼭짓점에서 대칭성 유지하며 양자점 제어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제공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
의 반도체 결정체인 양자점(퀀텀닷)을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고 이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로써 양자 광원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됐다. 양자점은 전압을 가하면 스스로 빛을 내는 성질이 있어 차세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오래 가는 전기자동차 실현해 줄 단결정 양극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4.2V(볼트)의 일반적인 전압에서 배터리를 작동시켰을 때 균열이 가장 적었고고 단결정의
크기
가 3.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보다 작으면 높은 전압에서도 균열이 생기지 않았다. 연구팀은 균열 문제가 해결되면 현재 쓰이는 양극재보다 최소 25% 더 많은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고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
2020.12.13
소모되는’ 소모전이어야 한다. 셋째 싸움 종결을 위한 단서가 애매해야 한다. 신체
크기
의 차이, 세력권의 차이, 전투 능력의 차이가 분명하면 소모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서로 이길 수 있는지 혹은 질 것이 뻔한지 분명하지 않아야 소모전이 일어난다. 똥파리 연구 행동생태학자는 종종 더러운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
2020.12.12
정액을 채취하고 있다. 김정호 수의사 제공 같은 날 중국에서 한 손으로 들만한 작은
크기
의 냉동 병이 항공편으로 도착했습니다. 이 병에는 중국에 살고 있는 자이언트판다의 정자가 들어 있었습니다. 스미소니언 연구원은 중국 자이언트판다의 정자를 미국에 있는 자이언트판다 암컷의 난자와 ... ...
해조류 먹어 치우는 게를 풀자 산호가 살아났다
2020.12.11
연구팀은 이중 산호초를 잠식하는 해조류를 줄이기 위해 카리브해 암초게 중 가장
크기
가 큰 ‘마구이미스락스 스피노시시무스’ 종이 해상 식물을 먹는 능력에 착안했다. 연구팀은 미국 플로리다키스 해변 산호초에 해당 게를 풀어놓고 산호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했다. 연구팀은 ... ...
13~14일 밤하늘 소행성이 남긴 별똥별 쏟아진다
2020.12.11
많이 떨어지는 극대 시기가 약 10시간의 편차를 보여 관측이 오래 걸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14일 새벽은 맑지만 13일 전국에서 눈비가 내리고 오후에도 구름이 낄 예정이라 당일까지 날씨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직접 나가지 않고 유성우를 감상하는 방법도 있다. ... ...
5G 실내 어디서나 터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심어 RoF 기술을 구현했다. 5G 기지국 인터페이스 기술도 노트북
크기
의 독립 모듈 형태로 개발했다. 기지국을 세우는 대신 광중계기를 설치하고 건물 내부에 분산안테나시스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5G 서비스를 구축하는 게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ETRI 제공 이 기술은 5G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