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뉴스
"
기여
"(으)로 총 4,0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방역과 자살의 문화심리학
2020.11.10
제공 민주 사회에서 새로운 가치가 번성할 수 있도록 가장 큰
기여
를 하는 것은 기존 견해를 완고하게 붙들고 있는 이들의 사망이다. - 데이비드 싱클레어, ‘노화의 종말’에서 지난 8일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5000만 명을 돌파했다. 사망자도 125만 명을 넘어섰다.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 2차 확산이 ... ...
과학기자들이 뽑은 올해의 과학자상에 고규영 단장·김범태 단장·장혜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현장에서 적극적인 취재 활동가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제공으로 과학 보도 확산에
기여
한 강현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홍보실 책임, 김남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홍보팀 선임전문원, 김지영 한국얀센 북아시아 총괄 홍보 및 대외협력 전무, 봉성경 고려대 구로병원 홍보팀 차장, 이샘물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실제 제품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해 혜택을 입고 국익에도
기여
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송영민 G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 ...
“핼러윈 데이, 단풍놀이 집단감염 사례 없지만 더 지켜봐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기간 이후 드러난 집단발생은 없었다”며 “하지만 지역 사회에 전반에 작게나마
기여
하고 있을 여지가 있어 지켜봐야 한다”고 말해다. 전 세계 확진자가 급증하며 해외유입 확진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은 하루 10만 명 정도가 확진 판정을 받았고, 유럽은 매일 30만 명이 넘는 ... ...
이산화탄소 자원화 ‘걸림돌’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차세대 탄소자원화 기술 개발에
기여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에너지환경과학’ 최신호에 게재됐다 ... ...
"CO₂로 에틸렌 만든다…고선택성·고효율 촉매개발 토대 마련"
연합뉴스
l
2020.11.08
"이 연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차세대 탄소자원화 기술 성장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 & 환경 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끝) ... ...
학습과 기억 담당하는 새로운 원인 유전자 발견
연합뉴스
l
2020.11.08
뇌 신경회로와 유전자가 밝혀짐에 따라 기억과 신경 퇴행 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에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몰레큘러 사이키아트리'(Molecular Psychiatry) 지난 9월 28일 자에 실렸다. (끝) ... ...
IBS 첫 부원장에 하성도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총괄하며 임기는 2년이다. 하 신임 부원장은 “IBS가 세계적인 기초연구기관이 되는 데
기여
해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민들에게도 기초과학의 중요성을 알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도영 IBS 원장은 “하성도 신임 부원장은 KIST에서 27년간 재직하며 연구는 물론 기술사업화,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국민의 지지 덕분에 우주청 만들었죠”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우주 산업 규모를 현재의 3배로 키워 전 세계 우주 네트워크의 일원으로 우주 개발에
기여
할 것”이라며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도 그 일환”이라고 말했다. 호주 정부는 지난해 1500만 호주 달러(약 122억 원)를 투입해 호주 내 민간 우주 산업을 키운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오작동 높은 민감도로 찾아낸다
연합뉴스
l
2020.11.05
박사는 "희귀난치성 질환이나 유전 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지난 7월 18일 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