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든 술은 몸에 해롭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실험 결과 에탄올을 마신 쥐들에게는 면역억제 반응이 나타났으며 포도주를 마신 쥐들은
정상
적인 면역 체계를 유지했다. 연구진들은 연속적으로 에탄올을 마신 동물들이 다른 그룹보다 백혈구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과 적포도주 속의 특정 물질이 면역체계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 ...
실험실은 동물보호 사각지대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연구를 위해 만들어진
정상
에 비해 2배 이상 뚱뚱한 쥐, 암 연구를 위해 개발된 면역성 없는 누드쥐, 간질병에 걸려 1시간에 1백번 이상 발작을 일으키는 쥐. 최근 미국의 한 실험동물연구소에서 ‘상품’으로 선보인 대표적인 쥐들이다. 연구소는 이들을 포함한 6백여 종류의 돌연변이 쥐를 개발했다.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체중을 줄이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복부비만이 있는 사람이
정상
체중까지 빼지 않더라도 현재의 체중보다 10-15% 정도만 감소해도 비만과 관련된 질환은 현저히 호전된다.일반적으로 복부비만과의 마지막 전쟁을 지방제거술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것은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십상이다. 1950년 프랑스의 등반가 모리스 에르조그는 세계 최초로 8천91m의 안나푸르나
정상
에 섰다. 인간이 8천m 이상에 오르는 것은 그가 처음이었다. 그러나 그는 감격한 나머지 장갑을 끼는 것을 잊어버렸다. 베이스 캠프에 돌아왔을 때 그의 손은 동상으로 완전히 마비됐다. 그는 결국 손가락과 ... ...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되는데, 며칠 동안 같은 시간대에 잠을 자도록 노력한다.반대로 야간근무가 끝나고
정상
근무가 시작될 때는 일주기리듬을 앞당기면 된다. 즉 아침에 빛을 쪼이고 저녁에는 어두운 곳에서 지낸다.일주기리듬의 심한 장애는 정신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계절성 우울증이다.우울증이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공룡 어미의 체내에 축적돼 알껍질을 형성하는 단백질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비
정상
적인 알껍질을 만들고 알두께를 얇게 해 부화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됐다.특히 알껍질에 함유된 셀렌의 양은 중생대와 신생대 경계로 갈수록 더 증가해, 이러한 둥지의 알은 부화 실패율이 매우 높았다. ... ...
3. 걸음마 배우는 우리나라 SF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푸대접을 받아왔다는 사실은 한편으로는 어이없는 일이다. 우리나라는 출판대국이자 비
정상
적으로 많은 문학동인이 있는 나라이다. 그런데 SF 잡지는 한권도 없으며, SF가 분명한데도 책 광고에는 “이 소설은 공상과학소설이 아니다. 10년 안에 다가올 우리의 현실이다” 따위의 모순적인 문구가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행한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맹인 2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17명이 비
정상
적인 리듬, 즉 24.5시간을 주기로 생활한다는 점이 밝혀졌다.일반인들은 대체로 매일 정해진 시간에 잠들고 깨어나는 생활을 반복한다. 즉 24시간을 주기로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정해놓고 생활하는게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운동선수가 금지된 약물을 복용했는지의 여부도 소변으로 알아낼 수 있다.한편 체내에
정상
적으로 존재하는 물질도 그 작용을 마치거나 여분의 것이 생기면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임신을 하면 태반에서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라는 물질이 생성된다. 소변검사를 통해 임신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 ...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리고 파랑 영역을 보는 단파장 원추세포인 베타(β)세포가 있다. 이들의 분포 비율은
정상
인의 경우 40:20:1 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빨간색이 눈에 가장 잘 띄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그림2).색깔의 식별 능력을 잃어 사물의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는 상태를 색맹이라고 한다. 가장 흔한 경우는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