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해류, 조력, 온도차를 이용하면 화력발전소의 오염문제나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사고를
신경
쓰지 않고도 전기를 만들 수 있다. 실제로 시화호에서는 조석간만의 차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 수 있는 25만4000kW 규모의 조력발전소를 짓고 있다. 또 전라남도 진도 울돌목에는 1천kW급 조류발전소를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점에서 수학자들을 매료시켰다. 왜냐하면 수학자들은 자연에서 나타나는 규칙에
신경
을 곤두세우기 때문이다.우주를 지배하는 수학의 코드지구를 벗어난 곳, 머나먼 우주에서도 수학의 코드를 찾아 낼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원 모양이다. 지구는 둥글고 태양, 목성, 토성 심지어는 그 ... ...
목숨 살리는 '생명 빨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역에서 기차를 교대할 때 기관사에게 운행방법을 지시하듯이 생체는
신경
교대를 이용해
신경
의 활성을 조절한다 고속증식로(Fast Breeder Reactor)란 발전을 하면서 소비한 연료보다 많은 새 연료를 생산하는 원자로를 말한다 고속증식로를 사용하면 우라늄연료의 이용률을 현재보다 약 60배 이상 늘릴 수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해식작용에 의해 후퇴하고, 그 전면의 해면 가까이에 나타나는 평탄한 지형대뇌 피질의
신경
세포 수만개의 전기적인 활동을 동시에 기록한 것우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진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세로토닌의 수치가 낮은 사람들은 사소한 일에 평정심을 잃고 폭력적인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장 운동과 액체의 흡수와 분비를 조절하는 장
신경
계를 자극한다. 자극을 받은
신경
계는 장의 상피세포를 자극해 물을 방출하게 해서 설사를 일으킨다. 세균이 설사를 유발하는 방법과 비슷하다.노로바이러스의 가장 큰 특징은 ‘2차 감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2차 감염은 식중독 환자가 사고 ... ...
종기가 사람 잡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신경
생리학적으로는 비슷한 현상이다. 두 감각 모두 히스타민 또는 프로스타글란딘이
신경
섬유(C섬유)를 자극해 생긴다.1984년 미국의 마일스 벨그래이드 등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침 치료는 히스타민에 의한 가려움이나 홍반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건강한 지원자 25명을 대상으로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실제로 존재하며 이들이 열운동을 한다는 것을 실증한다아드레날린 등의 아민류 호르몬,
신경
전달물질의 기능이 있다시각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이 그 기능에 따라 5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는 점이 밝혀짐에 따라 각 영역에 숫자를 붙여 표현하게 되었다 이중 V1은 망막에서 들어온 시각정보를 ... ...
내 마음이 상처를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종교학자들이 모여 대담한 기록을 엮은 책이다.대담에 참가한 석학들은 ‘현대
신경
과학과 동양 불교사상의 만남’이란 부제를 갖고 지금껏 서로 대척점에 서 있던 것으로 알려진 동서양의 과학과 문화를 결합해 인간 의식의 본질을 탐구한다. 동서양이 바라보는 감정을 서로 비교하고, 이를 ... ...
위장 다스려 건강한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전문적인 검사를 해도 별다른 이상을 밝혀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병이 아닙니다’ ‘
신경
성이군요’라는 말 이외의 처방을 기대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몇 년 전 일본 언론에서 인기를 끌었던 구키 노부오(九鬼伸夫)라는 의사는 한방 진료의 특징을 ‘포기하지 않는 의료’라고 말했다. 그는 ... ...
공포가 즐거운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힘들어지며 심한 경우에는 혈관 파열로 사망할 수 있다.실제로 2000년에 열린 미국
신경
학회에서 일본 지바대 연구진은 롤러코스터를 여러 번 탑승한 사람들의 뇌 피막 아래에 피가 고이는 증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몸이 롤러코스터의 움직임에 따라 과격하게 흔들리면서 뇌가 두개골에 부딪혀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