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학"(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수학동아 l2021년 03호
- AI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딥러닝이 이렇게 오랜 역사를 지닌 기술인 줄 몰랐지? 이번에는 만화에서 소개한 딥러닝의 발전에 나왔던 개념 중 중요한 개념 3가지를 설명해줄게! 딥러닝 키워드1 퍼셉트론인간은 막 태어났을 때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지만, 학습을 통해 점차 많은 것을 알아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있다.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신경기계번역(NMT) 기술이 대표적이다. 사람의 뇌신경망을 수학적으로 흉내낸 인공신경망은 함수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딥러닝 기술에 적용된다. 이때 사용하는 함수는 상황에 따라 변수가 갖는 확률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률분포함수다.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할 때 ... ...
-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수학동아 l2021년 03호
- ‘3월 14일 15시 9분 2초.’ 혹시 ‘파이데이(π-day)’를 알고 있나요? ‘3.141592…’로 무한하게 이어지는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6번째 자릿수까지의 숫자들을 의미 ... 참고자료샌더슨 스미스 ‘수학사 가볍게 읽기’, 권현직 ‘조충지가 들려주는 원 1 이야기’, 김용운 ‘수학사대전’ ...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해낸 사람이 있었습니다. 1873년 소수점 아래 707번째 자릿수까지 계산한 영국의 아마추어 수학자 윌리엄 샹크스입니다. 무려 15년에 걸친 계산 결과입니다. 이후 컴퓨터 계산을 통해 527번째 자릿수까지만 정확한 것으로 판명됐습니다. 샹크스의 결과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계산한 원주율의 최장 ...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요즘도 원주율을 구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데 좀 엉뚱한 방식으로요.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Logical)’은 원주율이 2임을 증명하는 영상 ... 수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리라 생각했고요. 더 많은 사람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수학을 연구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힘을 내겠습니다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학을 잘 못해서 속상하다고요? 수학을 잘하는 사람에게 질투가 난다고요? 괜찮습니다! 조난숙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대학 교수님도 그랬거 ...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 현대 심리학에서는 확률을 이용한 통계학을 많이 활용해요. 수학자로서 확률론을 공부했던 저는 이해하기 쉬웠죠 ... ...
- [이달의 우주 날씨] 수성 관측? 각도부터 알아야 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성과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은 지구에서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하늘에서 수성을 발견한 적이 있나요? 수성은 관측하기 까다로운 행성이라서 본 사람이 적을 거예요. 수성을 보기 힘든 이유는 수성의 공전반지름 때문입니다. 태양계 첫 번째 행성인 수성의 공전반 ... ...
-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베다 수학’은 고대 인도의 종교 문헌인 베다 경전을 통해 발전해온 인도 고유의 수학입니다. 재미있는 수학의 원리가 숨어있는 ‘베다 방진’을 만들 ... 이를 이용한 베다 도형을 그려보자. 복잡한 계산만 하는 것이라는 선입견이 사라져 수학과의 거리 두기도 멈출 수 있을 것이다 ... ...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대한 정보가 담겨있죠. 그런데 열세 번째 숫자는 특별한 정보 없이 앞의 12개 숫자에 수학적인 알고리듬을 더해 정합니다. 이 숫자를 ‘체크 숫자’라고 합니다.체크 숫자는 이렇게 정합니다. 우선 앞의 12개 숫자 중 홀수 번째 자리에 있는 수를 모두 더합니다. 여기에, 짝수 번째 자리에 있는 수를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도움이 됐나요?전에는 문제를 풀기만 했었는데, 문제를 내다보니 출제자의 관점에서 수학 문제를 바라볼 수 있게 됐어요. 다른 사람들이 쓴 풀이를 읽어보면서 제가 몰랐던 개념이나 공식을 배우고, 문제의 오류를 발견하기도 해요. 혼자서 공부할 때는 ‘이런 문제는 이렇게 풀어야 한다’는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