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힉스’와 ‘중성미자’를 대하는 신문의 자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신문은 첫 보도는 비중이 높았지만, 후속보도는 해외 신문에 비하면 갯수가 적었다. 또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의 오류 소식은 첫 발표에 비하면 매우 작게 다뤘으며 아예 보도하지 않은 곳도 많았다. 주요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했다. 이 조사는 KAIST 과학저널리즘대학원의 ...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카펫 같은 모습….이 심해 생물들의 정체는 무엇일까? 이들은 어떻게 번성했을까? 빛이 들어오지 않는 캄캄한 심해에서 어떻게 영양을 섭취할까? 또 열수가 뿜어내는 유독한 황화수소(H2S)와 고농도 중금속의 극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을까? 이 생물들은 다른 바다 밑에서도 살고 있을까? 이 ... ...
- 과학전문기자가 와인 파티를 연다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알고 고개를 돌린다. 빛이 적색광이냐, 청색광이냐에 따라 성장도 달라진다. 정말 식물은 빛을 보고 있다! 책에서는 다양한 식물의 감각을 매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얌전히 자리에 앉아 광합성만 하는 줄 알았더니 세상을 보고, 냄새 맡고, 느끼고 심지어 기억도 한다. 길가에 자리 잡은 풀잎이 ... ...
- 새벽기차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것이 같아 나눌 이야기도 없었다.우리는 늘 밖을 보았다. 하늘은 늘 푸른 기가 도는 분홍빛이었다. 해머리는 지평선에 못 박혀 있었다. 새벽별도 그 자리에 머물렀고 키바의 공전에 따라 아주 조금씩만 자리를 틀었다. 줄무늬큰뿔소와 점박이큰사슴 무리가 우리와 함께 달렸다. 그들은 먼지를 ... ...
- 러시아에 쏟아진 ‘운석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러시아 첼랴빈스크 주에 운석이 떨어졌다.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라는 말처럼 엄청난 빛과 소리를 내며 지구에 추락했다.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가 떨어졌으니 ‘운석우’라고 표현할 만하다.돌이 하나 날아와도 위험한데 우주에서 날아온 돌은 얼마나 위력이 셀까. 러시아 과학기술원은 길이 1 ... ...
- [화보] 기하학, 걸작을 짓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바로 기하학이 아닐까. 라 투레트 수도원라 투레트 수도원의 복도는 시간에 따라 햇빛의 방향과 명암이 수시로 바뀐다. 촘촘히 설계돼 있는 창살과,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 복도와 천장 때문이다. 복도 바닥은 9°쯤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천장은 바닥면과 정반대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다 ... ...
- [포토뉴스] 개미의 움직임, 페르마의 법칙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직선 형태가 된다. 반면 매질이 다른 경우에는 직선의 기울기가 다르게 되고, 결국 빛이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땐 그 경계에서 꺾이는 굴절이 일어난다.연구팀은 “개미는 최소 시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연구 결과는 로봇이나 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구조를 본떠 만들면 햇볕을 더 많이 모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파나소닉사에서는 최근 햇빛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도 모아 산소를 만들 수 있는 인공광합성 장치를 만들기도 했답니다.빗물을 흘려보내는 ‘잎맥우산’?잎에 물이 고이면 잎맥(위 사진)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흉내 내면 빗물이 잘 ... ...
- 지지직~, 전류가 흐르는 숯이 있다? 신기한 숯 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켤 수도 있을까요?한 번 해 볼까? 숯 전지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연결해 보는 거야.흑흑, 빛이 들어오지 않아요.하하, 그 이유는 숯 전지의 전압이 불을 밝힐 만큼 세지 않아서야. 이 LED는 전압이 2V 이상이 돼야 켜진단다. LED의 불이 안 들어 오는 것을 보니 우리 숯 전지의 전압은 2V가 되지 않는 거지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가족과 다시 만나려는 학생들의 즐거운 얼굴이 떠오른다. 구름이 잔뜩 껴서 어두운 푸른 빛으로 뒤덮인 학교는 음울한 느낌을 주면서 마치 무슨 사건이 곧 벌어질 것 같은 예감을 준다. 이미 사회적 학습을 통해 색의 상징적인 의미를 알고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