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두 눈시야’는 사람이 140°고 개는 60°다. 한 쪽 눈을 감고 손가락을 마주치면 손톱 끝을 맞추기 어렵듯이 두 눈 시야가 좁을수록 입체감을 잘 느끼지 못 한다.수정체 두께를 사람만큼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해 가까이 보는 것도 한계가 있다. 사람은 가장 가까이 볼 수 있는 거리가 7cm인 반면 개는 3 ...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멀다.늦털매미는 한국산 매미 중 가장 늦게 생존하는 매미로, 이 매미 소리를 끝으로 그 해 매미와는 안녕이다. 늦털매미와 사촌격인 대만늦털매미는 대만 난터우현과 중국 저장성에 사는데, 12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생존한다. 몸길이는 약 2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0m. 24시간 기다려야 비행기 탈 수 있다다시 물속으로 스미는 햇살이 보인다. 다이빙의 끝이다. 다시 보트로 돌아가려면 먼 거리를 수영해야 할 수도 있다. 바다 속 아름다움에 정신을 빼앗기면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그런데 이 때 보트로 돌아가야 하는 거리가 너무 멀거나 신체가 피곤하면 사고가 ...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수 있다. 20세기까지 오는 동안 색 제조가들이 아름다운 색을 찾기 위해 가졌던 노력은 끝도 없다. 화려한 색깔과 화가의 정성이 합쳐진 예술품을 우리는 그저 즐겁게 감상하며 경탄하는 것일 뿐. 빨강과 노랑, 파랑의 세 가지 색에서 화가들은 온갖 색을 창조했다. 알폰스 무하의 작품에서 과연 ... ...
- 1개월을 1분으로 압축하기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앞에 타임랩스 카메라를 두고, 몇 분마다 한 번씩 찍을지, 며칠 동안 찍을지만 설정하면 끝이다. 지정한 날짜가 되면 멋진 동영상이 저절로 만들어진다. 번데기가 나비로 우화하는 놀라운 장면을 놓치지 않고 촬영하고, 수채화를 완성하는 과정을 1분 만에 압축해서 보여주자. 자전거 여행을 영상으로 ... ...
-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겁이 많아서 조금만 긴장해도 머리의 공격용 가시를 세워 찌를 준비를 한다.공격용 가시 끝에는 작은 갈고리들이 나 있는데, 바로 여기에 생존 비법이 있다. 가시에 난 갈고리들이 한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가시에 한번 박히면 빠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가시에 갈고리가 없는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깃발이 0~9까지의 숫자와 10가지 알파벳 철자를 의미하고, 3개의 깃발이 메시지의 시작과 끝, 그리고 대체함을 의미한다. 나머지 숫자와 알파벳 철자 등은 이 깃발들을 조합해서 만드는데, 깃발을 세 개까지 조합해서 000부터 999까지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숫자에 나머지 알파벳과 자주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당시 최고의 수학자였던 오일러는 골드바흐의 편지 내용에 흥미를 느껴 꼼꼼히 살펴본 끝에, 그의 추측을 아래와 같이 수정했다.★ 5보다 큰 모든 홀수는 세 소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2보다 큰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그 이유는 오일러와 골드바흐의 소수에 대한 견해가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고 한다.하지만 세상일엔 늘 반전이 있다. 스메일은 우여곡절 끝에 27세의 나이에 겨우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이후 31세에 대학 강사를 하면서, 당시 괴물과도 같이 수학자들을 괴롭히던 문제인 ‘푸앵카레 추측’ 문제를 5차원 이상에서 완벽히 해결하는 기념비적인 ... ...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처음에 온실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유리창을 어떻게 표현할까 고민했어요. 궁리 끝에 아래 그림처럼 투영법을 사용하기로 했죠. 투영도는 수학적인 개념으로, 공간에 있는 물체의 형태를 평면 또는 곡면에 나타내는 그림이에요.저는 반구에 격자를 투영해서 온실 느낌의 ‘인공 정원’을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