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개발하는 플랫폼)가 있다. 우주비행사들은 누구나 비상상황을 대비해 기초적인 전자
공학
기술을 배운다. 우주인 훈련 마지막 단계로 나는 유타사막에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해 소형위성인 큐브샛과 큐리오시티 탐사로봇을 만들었다. 이 경험을 활용해 3D 프린터로 탐사로봇의 부품을 제작하고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작은 나라인 독일이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이 됐답니다. 앞으로 우리 미래세대도 기계
공학
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경쟁력을 키워나갔으면 좋겠어요.Q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한 말씀해 주세요!꿈을 가지세요.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푹 빠져서 즐기세요. 즐기며 배우다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열린 2015 다도해국제요트대회를 취재하러 목포를 찾았다. 그곳에서 목포대 해양시스템
공학
과 유재훈 교수를 만나 요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기자가 가장 궁금했던 점은 멋대로 부는 바람만을 이용해 원하는 방향으로 요트를 나아가게 하는 원리였다. 바람이 항상 배 뒤에서 불어주는 것도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만들어내고 이것을 통해 자율적으로 수축하는 특수한 신경조직이다. 하버드대 위스생물
공학
연구소 질병생물물리학 그룹의 애나 그로스버그 연구원팀은 2011년 11월 학술지 ‘랩칩’에 ‘하트(심장) 온어 칩(heart on a chip)’ 개념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PDMS로 된 얇은 기판 위에 심장 근육세포를 배양해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나는 모습을 연구한 사람이 있어요. 바로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생물학 및 생물
공학
과의 마이클 디킨슨 교수예요. 디킨슨 교수 연구팀은 원통 모양의 실험 상자 안에 초파리 40~50마리를 넣었어요. 그리고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 ...
조울증인지 아닌지, 스마트폰은 알지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조울증 환자의 기분 상태를 진단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됐다.이탈리아 네트워크 사회를 위한 전기통신실험연구소(CREAT ...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전기전자
공학
회(IEEE) 학술지 ‘편재형 컴퓨팅’ 가을호에 실렸다 ... ...
스티로폼 먹어치우는 밀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만들고 나머지는 이산화탄소로 배출했다.함께 연구한 미국 스탠퍼드대 도시환경
공학
과 웨이 민 우 연구원은 “전 세계에 만연한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문을 열었다”고 말했다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배출 기준(1km 당 4mg)과 비교해도 크게 다르지 않은 수치다. 민경덕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는 “강화된 환경 규제를 맞추기 위해 자동차업계는 엔진과 후처리 장치 기술을 꾸준히 발전시켜왔다”며 “클린 디젤이 아예 없다고 말하는 건 디젤의 입장에서도 억울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민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진공에서 빛은 관측자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갖는다. 잘 알려져있듯 초속 30만km다. 하지만 진공이 아닌 다른 매질, 광자의 전진을 방해하는 어떤 물질 속으로 들어가면 빛의 속도도 느려진다. 예컨대 물속에서는 1.5배 느려지고, 반도체에서는 3배 정도 속도가 느려진다. 반도체는 일상에서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아무래도 공장에서 만드는 화합물에 비해 대량생산이 어렵다. 가령 미국 UC버클리대 화학
공학
과 제이 키슬링 교수가 유전자를 편집해 개발한 아르테미시닌 합성 미생물은 현재 아르테미시닌 수요의 3분의 1 이상을 담당하고 있다.우리나라의 전통약물 지식도 중국에 못지않다. 우리나라에도 식물을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