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불가능한 예임을 증명했는데, 이는 ‘튜링의 홀팅 문제’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것은
결국
힐베르트의 문제에 대한 반례가 된다. 지금은 힐베르트의 결정가능성 문제에 대한 답을 준 것보다 오히려 튜링기계 개념의 창안 자체를 더 중요한 업적으로 보기도 한다.튜링은 유년기부터 생명현상이나 뇌 ... ...
스타워즈의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짧아진다.우주선이 광속에 가까워지면 별빛은 도플러 효과로 인해 파장이 짧아지다가
결국
눈에 보이지 않는 엑스선 영역으로 넘어간다. 반대로 평소에 보이지 않는 우주배경복사의 파장이 짧아지면서 가시광선 영역으로 넘어온다. 이 우주배경복사가 희뿌연 구름으로 보이는 것이다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설명했다.때는 사실 알고 보면 매우 단순하다.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의 일종이며,
결국
떨어져 나갈 물질이다. 미세먼지나 사람이 사용하는 비누와 결합해 ‘꼬질꼬질’하게 만들어져 불쾌한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완전히 없애자고 과거 부모님처럼 벅벅 밀어버리다가는 큰코 다칠 지도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하는데 이 때문에 비행기 머리가 미사일처럼 상하대칭 형태가 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결국
사람이 타면 완전한 유선형으로 만들 수 없어 유체역학적으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사람이 타지 않는 무인기는 이런 면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점점 더 SF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할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익숙해진 대상이라도 청각과 시각이 발달하면 또 다시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했다.
결국
새끼 늑대는 낯선 대상에 익숙해지는 데 강아지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사람과 친해지기가 어려웠던 것이다.로드 교수는 “유전자의 차이가 아니라, 유전자가 발현하는 시기의 차이가 개와 늑대의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하는데 건강에 좋은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하는 게 과연 옳을까.채식은 사랑이다
결국
채식에 앞서서 제대로 된 식습관을 세우는 게 먼저다. 제대로 된 식습관은 쓰레기 음식을 피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쓰레기 음식은 정크푸드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균형을 맞추지 않은 식습관이 모두 포함된다. ... ...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수학자 테아이테토스가 정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입체도형을 작도하면서 시작됐다.
결국
그는 대칭을 이용해 정육면체와 정이십면체를 처음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대칭적 성질을 이용해 새로운 도형을 발견해 내는 것도 대칭 연구 중 하나다.1970년대 미국의 수학자 앨런 홀든은 구멍 뚫린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힘든 이타적 행동이다. 그런데 유전자 측면에서 확률적 계산을 해보면 이런 행동이
결국
유전자의 이기적인 행동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개미가 수컷과 직접 교미할 경우 일개미와 일개미 자식 사이의 유전연관성은 50%가 된다. 반면 여왕개미가 수컷과 교미할 경우 일개미와 자식들(일개미의 ... ...
[포토뉴스] 블랙홀의 비밀에 다가간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인도 출신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은 32살에 병으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수많은 업적을 남긴 천재 수학자다. 그는 노트에 자기만의 독특한 직관으 ... 만든 수많은 공식은 아직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지만, 노력 끝에
결국
한 조각 그 의미를 알아낸 것 같다”며 소감을 전했다 ... ...
[해외취재] 영국 매스투어2탄, 위대한 수학자들의 자취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포함한 그의 디자인이 너무 현대적이고 경제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성직자들이 반대했죠.
결국
렌은 그들의 의견을 꺾지 못하고 성당을 짓기 시작했어요. 그러나 돔만은 포기할 수 없었어요. 그 결과 건축을 시작한 지 35년만인 1710년, 바로크양식으로 돔을 완성시키고야 말죠.세인트 폴 대성당을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