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어떻게 만드느냐다. 중심 분할을 응용해 유닛을 만들어 보자. 중심 분할 정다면체는 1가지 유닛으로 만들 수 있다. 정다면체를 이루는 유닛은 점대칭인 것이 특징인데, 유닛을 점대칭 도형★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무게중심에서 각 꼭짓점 방향으로 그은 선으로 정다각형을 나눠서(중심 ... ...
- 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변의 수+면의 수)가 양수가 아닌 곡면, 즉 구면을 제외한 모든 곡면 위에 그린 지도는 가지 색이면 충분히 칠할 수 있고, 이보다 적은 색으로는 색칠할 수 없는 지도가 있다고 추측했어. 여기서 [x]는 실수 x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말해. 예를 들어 [2.5]=2, [-2.5]=-3이지. 히우드 추측의 유일한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작성하고, 암세포의 기원과 암 발생 과정, 암을 일으키는 체내 신호전달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조사했다. 이 가운데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는 브라질 상파울루 의대와 미국 하버드대, 폴란드 포즈난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유사줄기세포능(stemness-like) 지수’다. 연구팀은 종양세포의 탄생과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하는데요. 그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여유가 생겼다고 봐야죠. 미국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과거에는 정부가 우주비행사를 육성해 우주에 ‘가는 것’에만 집중했습니다. 그러다 ‘스카이랩(Sky Lab)’이 생기면서 우주에서 실험을 해보겠다는 생각이 나왔고, 우주에서 의미 있는 것을 해보고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대해 차가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연구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적외선 카메라다. 김 교수는 “열 감지 적외선 카메라는 큰 물체가 사람을 가리고 있더라도 물체 뒤에 있는 사람을 인지할 수 있다”며 “미리 서행을 하는 등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상수를 측정해왔다.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구하는 방법은 XRCD와 키블 저울, 크게 두 가지다. XRCD는 실리콘 개수를 세어 아보가드로 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아보가드로 수와 플랑크 상수의 곱은 알려져 있기 때문에 플랑크 상수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키블 저울은 저울 한쪽에 인공물을 달고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디지털 데이터는 이진수로만 처리되므로 이진수로 변환한 뒤에 암호화된다. 문자도 마찬가지다. 편의상 여기서는 이진수로 변환하지 않고 설명한다. 10과 15를 동형암호로 암호화한 결과를 쉽게 말하면 각각에 매우 큰 수(비밀키)를 더한 값이다. 예컨대 10과 15를 12345라는 비밀키로 암호화한 수는 10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대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고든 교수는 비만에 관련된 장내미생물에 관심을 가지게 됐습니다. 2005년 그는 굶주림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이 사라져, 정상 쥐에 비해 체중이 4배 가량 많이 나가는 유전자 변형 쥐와 정상 쥐의 장내미생물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유전자 변형 쥐에서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인구 감소 흐름 때문에 점차 해결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미스매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전공의 졸업자는 부족하고, 기업이 선호하지 않는 전공의 졸업자가 넘쳐나는데 학령인구가 줄어든다고 청년실업 문제가 해결될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생긴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모든 과정을 가리킨답니다. 호흡은 두 가지 종류로 나뉘어요. 외부와 폐 사이에서 기체가 오고가는 ‘외호흡’과, 모세혈관과 몸속 세포 사이에서 기체가 오고가는 ‘내호흡’이지요. 영어로는 ‘respiration’으로, ‘다시, 계속’을 뜻하는 접두어 ‘re-’와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