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d라이브러리
"
해결
"(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
사, 산업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연 것도 수학자를 만나기 어려운 스타트업의 고충을 듣고 산업현장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
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그동안 수학을 깊이 공부한 학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대학에 산업수학센터를 지정하고 수학 인재의 산업계 취업 또는 스타트업 창업 등을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생각해 보는게 재밌으니까요. 그리고 계속 생각만 하다가 한두달 뒤에 갑자기
해결
하기도 했어요.마지막으로, 교수님이 생각하는 ‘수학’이라는 학문의 매력을 한마디로 말해주세요.깔끔함이요. 제가 고등학교 때 추상적으로 핵융합 원리 같은 걸 생각하는 게 좋았다고 말했잖아요. 그래서 사실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상황들을 스스로
해결
해야 한다. 맞닥뜨린 모든 문제를 그 어느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
해결
해야 하기에의사결정을 빠르게 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이 뮐러-파울라의 설명이다.스테고사우루스는 전기 달팽이의 꿈을 꾸는가2016년 4월 말에는 독일 막스플랑크 두뇌연구소의 마크 셰인-델슨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아니라, 의수를 자신의 팔로 느끼지 못하는 ‘유령손 효과’를 경험한다”며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시각 및 촉감 자극을 통해 의수를 마치 자기 손처럼 느끼게 뇌를 속이는 ‘고무 손 착각 현상’을 이용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고무 손 착각이란 실험참가자에게 고무 손(의수)만 보게 한 채 고무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주먹을 휘두르다 이혼당했다. 9개월 넘게 실직상태였고 보조금으로 간신히 의식주만
해결
하며 살아왔다. 낮 시간 대부분을 지하철역 주변을 방황하며 보냈고 해가 지면 늘 술에 절어 있었다. 한마디로 별 볼 일 없는 ‘루저’였다. 저번 직장에 있었을 때 사무실 책상과 선반을 맞추려고 직장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구하는 따분한 통계 수업에서 벗어나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친구들과 함께 고민하고
해결
해 나가는 토론형 수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6월까지 통계청 홈페이지에 통계청의 데이터를 교육용으로 새로 만든 자료도 소개할 예정입니다.유경준 통계청장은 “중학교 교사가 새롭게 바뀐 ... ...
[과학뉴스] 꿀꺽한 건전지 찾아주는 미니 종이접기 로봇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로봇이 개발됐다. 국내에서만 매년 50건 이상 발생하는 건전지 삼킴 사고에 좋은
해결
책이 될 전망이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다니엘라 러스 교수팀은 가운데 자석이 붙어있어 외부의 자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종이접기 로봇을 개발해 스웨덴에서 5월 16~21일 열린 ‘국제로봇자동화학회(ICRA) 201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단순한 촉감도, 귀찮은 행동 중 하나도 아닙니다. 이를 연구하는 것 또한 한낱 궁금증을
해결
하는데 그치는 것은 아니죠. 최근 들어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간지럼을 비롯해 사람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로봇입니다. 김성호 교수는 “간지럼은 운동과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분석하는 사람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는 이야기다. 앞으로 점점 더 많은 문제를 데이터로
해결
하게 될 것이고, 이는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빅데이터가 바꿔놓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한편으로 걱정되기도 하지만, 무척이나 기대된다. 미래를 만들어나갈 데이터과학자와 앞으로 그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과일가게 주인은 다 아는 수학 상식! 바로 케플러 추측입니다. 크기가 같은 공을 상자에 가장 많이 담으려면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 1주일 만에 8차원을 풀었던 아이디어가 24차원으로 확장된 것이지요. 다음에는 어떤 차원의 문제가
해결
될지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