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공간을 줄이고 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핵융합로로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구상하고 있는 미래 우주선용 엔진이 있다. NASA는 적은 양의 연료로 큰 추진력을 내는 핵융합 추진체를 현재 개발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발전기로도 사용할 수 있어 태권V의 에너지원으로 ... ...
판도라 별서 나온 '우주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열린 미국천문학회 207차 모임에서는 ‘우주 토네이도’ 사진이 공개됐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적외선우주망원경 ‘스피처’가 찍은 이 사진의 주인공은 소용돌이치며 나선형으로 감아 올라가는 모습이 영락없는 토네이도다.‘우주 토네이도’는 남반구 하늘에서만 보이는 별자리인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속도나 궤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레이더로 입수한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이나
항공
기 등을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유도하는 자립항법 선박에서 사용되는 레이더의 표시방법은 평면도 표시(PPI ; plan position indication)이다이 표시에서 얻는 정보는 레이더 전파를 반사하는 목표물의 극좌표 위치,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모양이 보이는데, 같은 종류의 세포에서는 비교적 정형(定形)이다 훈련을 쌓은 지상 또는
항공
요원이나 전파탐지 등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없는 비행물체 일반적으로는 비행접시(flying saucer) 등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정체불명의 비행체를 말한다1864~1909 독일에서 활동한 리투아니아 태생의 수학자 ... ...
소나무가 죽어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밀봉한다.❹ 일주일 이상 지나면 나무에 살던 솔수염하늘소가 모두 죽는다. 3차 작업.
항공
방제헬리콥터를 이용해서 솔수염하늘소를 죽이는 농약을 뿌린다. 짧은 시간에 넓은 산림의 소나무재선충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있다. 그러나 솔수염하늘소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이나 나무에까지 ... ...
베일 벗은 영국 무인전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무인전투기가 모습을 드러냈다.영국
항공
사 BAE시스템스는 최근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글라이더 ‘헤티-1A’와 소형 제트기 ‘코렉스’를 공개했다. 두 비행기는 모두 무인전투기 기술을 시험하기 위해 개발됐다.헤티-1A는 2005년 8월 첫 무인비행에 성공했으며 고도 1500m까지 비행했다. 코렉스는 200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주파수(周波數) 이동(移動)을 이용하는 인공위성의 추적 방식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하는
항공
기의 항법 지상의 항행(航行) 원조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항행할 수 있는 자립항법(自立航法) 시스템의 하나이며 장거리의 해상비행에 알맞다파원(波源)과 관측자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운동하고 있을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헤엄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 이를 위해 움직임을 3차원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항공
기의 항법 기술을 접목시킬 계획이다.하지만 여전히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다. 물 속에서 움직여야 하는 로봇 물고기의 특성상 방수가 가장 큰 문제다. 미국의 경우 축 하나도 생산되는 크기가 다양하고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이보다 앞서 지난해 12월 25일 러시아 우주청 크라스노프 유인우주국장은 과기부와 항국
항공
우주연구원을 방문해 “미국이 우주왕복선의 운행차질로 2007년 4월 러시아 우주선을 이용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중인 미국 우주인의 교대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ISS기본협정에 따라 ... ...
험한 우주 다리가 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긴 거리의 레이저 통신 실험이 우주에서 성공했다.미국
항공
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의 데이비드 스미스 박사는 지상의 우주센터에서 2400만km 떨어진 소형 우주선과 레이저 신호를 주고받는데 성공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는 1월 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됐다.이번에 레이저 통신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