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신기술이 제조해 온 신기록의 변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사이클경기에선 미국과 이탈리아가 메달을 쓸어갔다.원반형 바퀴에도 결점은 있다.
옆
에서 바람이 불어올 경우 제어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원반형 뒷바퀴에 평범한 앞바퀴를 장착한 자전거였다. 이를 개량한 자전거가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진가를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앞으로 차올릴 때는 가장 직선적으로 힘을 받는 발바닥의 앞축을,
옆
으로 찰 때는
옆
축을, 뒤로 찰 때는 뒤축을 이용한다. 전달돼오는 힘을 가장 분산없이 발산할 수 있는 과학적 부위들인 것이다.태권도에서 상대를 가격하는 동작의 효과는 속도에 달려 있다. 공에 맞는 순간 야구배트의 속도가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각자는 방정식의 일부를 맡고 있다. 한사람이 계산한 값은 작은 야광 전등판에 표시되고,
옆
사람은 이를 계산에 이용한다. 숫자들은 주위의 3방향으로 표시돼 동서남북으로 교환된다. 홀 중앙의 커다란 단상에는 전 극장을 총괄하는 자가 앉아서, 각지의 계산작업이 서로 비슷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 ...
저절로 박자 맞추는 박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위대한 연주가의 공연이 끝난 것처럼 박수를 치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이번에는 마치
옆
에 다른 청중들이 있어서 호흡을 맞춰야 하듯 박수를 치도록 했다. 비섹 박사는 두경우 학생들의 박수속도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열광적인 박수는 1초에 3회에서 5회로 학생들마다 그 속도가 제각기 ... ...
① 광속 우주선 타고 천체쇼 관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2억1천만 달러를 들여 지난 2월 맨해튼 센트럴파크 서쪽의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
옆
에 세운 로즈센터가 그것이다. 독특한 건축 양식과 최첨단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보기 위해 몰려오는 인파로 개관 몇 달이 지난 지금도 이 센터에는 관람객들의 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이 건물에 들어서면 마치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티체너 착시는 동일한 크기의 물체라 할지라도 큰 물체
옆
에 있을 때가 작은 물체
옆
에 있을 때보다 작아보이는 현상을 나타낸다.그런데 지평선 가까이 있는 달이 커보이는 이유를 그동안 많은 학자들은 티체너가 제시한 비교착시에서 찾으려고 했다. 다시 말하면 지평선 가까이에는 산이나 건물 ... ...
② 어린이, 노인 참여하는 체험형 과학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없기 때문에 컬러는 못보고 형체만 본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익스플로러토리움 바로
옆
샌프란시스코 앞바다 방파제에는 바닷물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돼 자연이 만들어 내는 음악 감상도 즐길 수 있다. 방파제에는 25개의 플라스틱과 콘크리트 파이프가 묻혀져 있어 파이프를 통해 바닷물이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잘 들여다보면 두꺼비와 토끼가 등장한다.납작 엎드린 두꺼비와 두 귀를 쫑긋 세우고
옆
으로 누운 토끼가 앙증맞다.그리고 조선시대에도 이들이 나타난다.홍길동전을 지은 허균의 누이 허난설헌의 시를 보면 달 속에 옥 두꺼비와 빨간색 영험한 약을 찧고 있는 흰 토끼가 등장한다. '광한옥토도 ... ...
한국2000년 과학축제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보인 2000년 과학축제의 모습을 지상에 스케치한다.컴컴한 실내에 무지개가 걸려있다. 그
옆
에서는 학생들이 유리구슬을 골고루 뿌린 종이와 촛불로 작은 무지개를 만들며 탄성을 지르고 있다. “와! 대단한데! 그런데 이거 왜 그래요?” “무지개가 물방울 때문에 생기는 것은 알고 있죠? 이 작은 ... ...
모래시계에서 발견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유지하려고 한다는 사실이다. 멈춤각보다 작으면 모래가 계속 쌓이고, 멈춤각보다 크면
옆
으로 흘러내려서 일정한 각도의 모래더미를 계속 유지한다는 것이다. 이 상태를 ‘고비상태’(critical state)라고 부른다.시카고 대학 하인리히 재거 교수와 그 동료들이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모래더미의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