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사고
사변
사태
업무
일거리
비상상태
d라이브러리
"
사건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와의 영원한 전쟁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아직도 그 이유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1666년에 일어난 영국의 화재
사건
은 우리에게 전염병과의 싸움에서 최후의 전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한 것이다.‘아웃브레이크’가 중세의 페스트를 현대로 옮겨 놓았다는 명백한 증거 중의 하나는 바로 이러한 결말을 차용한 데 있다. ... ...
'생명공학재난' 경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엔트로피’ 의 저자 제레미 리프킨이었다.이 두가지 ‘
사건
’ 은 얼핏 보아 별다른 관련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OECD 회원국이 된 이상 정부나 기업이 이런 불매운동을 더이상 남의 일로 여길 수 없게 됐다. OECD가 우리나라에게 생명공학 분야의 ‘안전성’ 을 ... ...
1. 기억도 여러가지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과 어의론적 기억(semantic memory)으로 분류된다. 삽화적 기억은 개인적으로 직접 경험했던
사건
을 떠올리는 것을 말하며, 어의론적 기억은 영구히 저장된 상식적인 사실이나 개념에 대한 기억이다. 삽화적 기억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경험했던 일들을 질문하면 된다.이에 비해 어의론적 기억의 ... ...
96화성탐사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이런 개념에 맞춰 제작됐지만 93년 화성 접근을 앞두고 실종되는 비운을 맞이했다.실종
사건
이 발발한지 3년이 지난 올 겨울, 글로벌서베이어와 패스파인더가 그 맥을 잇는다.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속속 화려한 캐스팅이 예고되고 있다. 짐작컨대 ALH84001 덕분에 순위에서 밀려났던 화성 계획들이 ... ...
3. 잠재의식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무엇이고 최면 현상이 무엇인지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어릴 때의 기억이나 중요한
사건
의 기억에 약간의 왜곡이나 환상이 곁들여지는 경우도 있는 반면에,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신비롭게 정확한 기억을 되살리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현재 가장 논란의 대상이 되는 대표적인 기억이 바로 전생 ... ...
은하의 씨앗 포착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갈릴레오와 브라헤가 지동설을 뒷받침하는 관측 사실을 내놓았던 것과 같은 ‘헤비급’
사건
인 셈이다. 더구나 이러한 시나리오를 옹호하는 천문학자들에게는 통쾌한 증거가 아닐 수 없다. 은하형성의 비밀은 밝혀진 것일까? 천문학자들은 아마도 “대체로 그렇지만 세부적으로는 아직 할 일이 ... ...
일본 SF애니메이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개발이라는 문제를 위트 있고 날카롭게 묘사한 이 작품은 옴 진리교의 지하철 살인
사건
을 연상케 한다고 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마지막 에피소드 ‘대포의 거리’(Canon Fodder)는 독특한 스타일과 색채감각으로 일본의 내면을 재현한다. 영화는 단지 전쟁을 수행중인 어느 미래의 이동도시에서 ... ...
3. 인터넷 주무르는 여성파워사이트11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짤막한 규모에 비해 비중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특히 미국 역사를 이루는 굵직한
사건
마다 여성들이 어떤 역할을 했으며, 어떻게 스스로의 힘을 키워나갔는지를 알려준다. 여권운동이 가장 활발하다는 미국의 예이기는 하지만, 그만 못한 우리의 현실에서도 참고할만하다 ... ...
4. 기억이 안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장기기억이나 단기기억에 장애가 나타나는 현상을 건망증후군이라고 한다. 어느
사건
이 일어난 시점 이전(선행성 건망증)이나 이후(역행성 건망증)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다.앞의 사례와는 달리 이 증후를 가진 대부분의 환자는 자신의 기억장애에 대해 깨닫지 못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 ...
통신 민주주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저해하기 위해 자체 검열의 효과를 노리는 고도의 행위로 파악했다(공산당 선언 게시
사건
은 이후 법원이 “이 문건이 국립도서관 등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고 합법적으로 출판되고 있다. 공산당 선언은 역사적으로 이적성을 상실한데다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이 입증된 현시점에서 이를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