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e메일이 전 세계에서 날아 들었다. 독자 여러분도 마음빼기 명상을 통해 자기 자신을 돌아
보고
미완성에서 완성으로 가는 즐거움과 변화를 느껴보길 기대한다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무엇일까요?손이 부지런해야 해요. 많이 계산해
보고
, 많은 예제를 풀어
보고
, 많이 기록해
보고
요. 머리가 좋은 사람이 좋은 수학과 학생은 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좋은 수학자가 될 것 같지는 않아요. 모든 유명한 수학자는 머리가 좋으면서도 정말 근면 성실해요. 수학을 잘하려면 체력도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자신의 경로를 알려 단골 고객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단골 고객은 주기적으로 SNS를
보고
로이 최의 트럭을 따라다녔다. 우리나라 SNS에서도 푸드트럭을 홍보하는 글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처럼 경험으로 얻는 생존법칙도 수학으로 계산한다면 영리한 장사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는 ‘유네스코 과학
보고
서’에서 “2000년대 노벨상 수상 연구는 대부분 1980년대 이전 성과”라며 “지금 노벨상을 많이 받는다는 것이 현재 연구개발(R&D) 투자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런 분위기는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가 개발한 512큐비트의 ‘디웨이브2’를 구매했다. 그런데 디웨이브는 연산 성능이 처음
보고
된 것보다 낮고, 범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아직까지 학계에서 진정한 의미의 양자컴퓨터로 인정 받지 못하고 있다. 결국 그 해 5월 16일, 구글은 자사 블로그에서 “인공지능(AI) 연구를 위해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NP’라는 추측이 있습니다. P는 정해진 단계 안에 풀리는 문제, NP는 문제의 풀이 과정을
보고
그 문제의 답이 옳은지 특정 횟수 안에 확인할 수 있는 문제를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NP-완전은 NP 문제중에서 이 문제를 풀면 다른 NP 문제를 모두 특정 횟수 안에 풀 수 있다고 증명된 문제지요. 외판원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방법을 제게 물어요. 그런데 특별한 비법이 없어요. 혼자 많이 생각하는 거예요. 전략을
보고
익혀서 풀면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문제나 새로운 유형은 잘하기 어려워요.” 게임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스도쿠는 컴퓨터가 알고리즘에 따라 만든 문제다. 이미 알려진 전략에 따라 문제를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러면 안 되는데….’ 고개를 너무 내민 모양이었다. 총을 든 남자 한 명이 하림을
보고
외쳤다.“거기 너 일어서! 움직이지 마!”그 소리를 들은 대장이 고개를 돌려 하림을 보았다.“너였군. 도망친 줄 알았는데, 어차피 네가 할 일은 끝났으니 구경이나 하려므나.”그리고 대장은 본체가 있는 ... ...
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주택 마련 프로젝트일본의 부동산 회사 ‘SUUMO’는 해양 쓰레기를 집으로 삼는 소라게를
보고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요. 바로 소라게 주택 마련 프로젝트 ‘셸 위 무브(Shell We Move)’예요.이 회사는 일본 도쿄대학교 해양과학기술대 카츠유키 하마자키 교수팀의 자문을 받아 소라게를 위한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기증해 2014년 10월 호주에 설치한 구경 43cm 광학망원경)을 이용한 광학 관측 결과를
보고
했다.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팀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