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IMT2000 앞에 선 핸드폰의 운명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설계하고 있다. 불과 2-3년 전만 해도 이동전화는 소수 계층의 전유물이었지만 2천3
백
만 가입자를 확보한 지금 생활 곳곳에 자리잡으며 새로운 생활습관과 풍속도를 만들었다.마찬가지로 앞으로의 생활 변화에 맞춰 무선망을 다시 설계해야 하며 단말기의 모습도 달리 디자인해야 한다는 게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인도에 가기가 어렵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제로는 1만6천km 떨어진 아시아가 4천8
백
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 콜럼버스는 포르투칼을 떠나 서쪽으로 뱃머리를 향했다.그리고 우연히 만난 아메리카 대륙이 아시아라는 믿음을 가진 채 1506년 세상을 떠난다. 아마 콜럼버스가 ... ...
Ⅰ. 고고학/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수양개의 좀돌날 제작 시기는 석장리의 경우보다 약간 늦은 1만8천3
백
년 전 - 1만6천4
백
년 전이었다. 또 제작 방법을 조사한 결과 석장리의 좀돌날 방식을 더욱 세련된 형태로 계승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특히 수양개 사람들은 ‘날씬한 마름모’ 형태의 좀돌날인 슴베연모(tanged tool)를 발달시켜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혹은 ‘겁없이 튀는’ 교수로 기억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의 ‘서울대학교 공대
백
서’(1991년)는 경쟁력이 없는 서울대 공대의 문제점을 지적한 책. 그러나 이 책의 내용 때문에 평생 구경할까말까 하는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에 끌려가 매맛을 봐야 했다. 두번째 저서인 ‘W이론을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배가 ‘등속직선운동’하고 있는 한, 역학법칙이 달라지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시속 7
백
km로 날아가는 비행기 안이라고 하더라도 여승무원은 지상에 있는 레스토랑에서처럼 우아하게 포도주를 따를 수 있다. 물론 이륙할 때나 착륙할 때, 즉 속도가 변하는 비행기 안에서는 달라진다 ... ...
독신자 사망률 기혼자보다 높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 예로 55-56세 여성의 경우 기혼자의 암 사망 건수가 10만명 당 2
백
53명인데 비해, 독신녀는 4
백
66명에 이르렀다. 단지 25-34세 여성층에서만 암 사망 건수가 10만명당 11명으로 똑같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위의 통계청 보고서는 결혼이 개인에게 위험한 행동을 피하게 함은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OSC)에서 제작한 토러스로켓에 의해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현재 아리랑 1호는 고도 6
백
85km에서 98분에 한번씩 지구를 돌면서 자세잡기에 한참이다. 아리랑 1호는 다목적실용위성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지구관측위성. 여기에는 사연이 있다. 1994년 위성 개발을 시작할 때 한반도 전역을 내려다볼 수 있는 ... ...
21세기 컨셉트 창조하는 산업디자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익히고 프로젝트에 참여한다.KAIST 산업디자인과는 1985년에 설립됐으며,지금까지 2
백
여명의 학사.60여명의 석사를 배출했다.졸업생들은 병역특례를 받기 때문에 비교적 이른 나이에 사회에 진출할 수 있으며,거의 대부분 대기업에 취업했다.졸업생 중에는 이미 교수가 된 사람들도 있다.현재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에서 따 온 것이다. 이 작품 5막 1장에서 미란다가 오랫만에 사람을 보자 반가워서 독
백
을 하는 장면이 있는데, 그 대사 중에 포함된 말이다.'멋진 신세계'에서 풍자된 과학만능주의는 과학기술 자체뿐 아니라 사람들의 사고방식까지도 극단적으로 변질된 미래상을 그렸다는 점에서 인류의 고전 중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방식이다. 밤나방의 날갯짓이 박쥐의 초음파 레이더에 걸려들면 밤나방의 목숨은
백
발
백
중 끝장이 난다. 하지만 밤나방의 생존전략이 만만치 않다. 밤나방의 감각은 무척 뛰어나서, 20여m 전방에 박쥐가 출현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박쥐의 접근을 눈치챈 밤나방은 날개를 몸에 바싹 붙이고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