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살펴 본 DRC는 재난 현장에서 직접 활약할 수 있는 로봇기술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원자력발전소 사고 같은,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위험지역에 로봇을 투입해 밸브를 잠그고 소방호스를 연결하는 등의 최소한의 기본적인 복구 작업을 벌이도록 하고, 임무 달성도를 채점해 서로의 역량을 실험하는 ...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쓸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을 막고 싶다면 LED만 끄면 된다. 병원이나 비행기, 원자력발전소처럼 전자기파 사용이 예민한 장소에서도 라이파이는 걱정 없이 쓸 수 있다. 빛이 전자기기 근처로 새들어가지 않게 문만 잘 닫아놓으면 된다.보안에도 강하다. 와이파이는 마음만 먹으면 눈에 보이지 않는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물리학의 영역이었던 X선 결정학이 단백질이나 DNA의 구조를 밝혀 주면서 생명과학이 발전할 수 있는 문을 활짝 열어 준 거야. 지금까지 X선 결정학과 관련 있는 연구가 받은 노벨상만 해도 20여 개나 된다니…, Wow$^{[와우]}$ 와! 대단한걸?결정이 지도고 열쇠라고?결정구조가 지도라고?물질의 모든 ... ...
- [생활] 라틴어에서 탄생한 +와 -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고대 이집트나 바빌로니아, 마야, 인도 등의 수 체계가 대표적이다. 수 체계는 발전을 거듭했지만, 기호의 탄생은 아직도 멀기만 하다. 기호가 없으니 문장으로 쓰는 수밖에 없었다. 7+8을 ‘7 더하기 8’이라고 쓰는 것처럼, 요즘 말로 서술형 문제를 읽고 푼 것이다. 점차 사람들은 자주 쓰이는 ...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로버트 훅(1635~1703)17세기 중반에 이르러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눈 결정 관찰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훅이 있었다. 초기 현미경을 사용한 로버트 훅은 1665년 자신의 저서 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눈 결정 그림을 실었다.당시의 ... ...
- 영화, 수학으로 생생하게 즐긴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1961년 처음 등장한 이후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을 했다. 1982년에는 영화 을 통해 영화에도 도입됐다. 이후 영화 등장인물이 외계인이나 괴물처럼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거나, 땅속처럼 촬영하기 어려운 것을 찍을 때 컴퓨터 그래픽스가 쓰이고 ... ...
- 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년의 역사를 정리해 봤다. 검은색은 입자 자체를 발견한 역사다. 파란색은 관련한 이론의 발전사다.붉은색은 주요한 실험장비, 특히 입자물리학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가속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그런데 이제 우리도 가능하게 됐어요. 실험과 이론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온 거예요.”김 팀장은 인터뷰 끝에 “개인적으로 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인 양자색역학(QCD)의 감금 문제에도 관심이 많다”며 “언젠가 가속기로 연구할 날이 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달 착륙에 성공했나세계는 이번 사건으로 중국의 우주기술에 대해 다시 한번 놀랐다. 발전한 것은 알았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는 것이다. 중국은 어떻게 달 착륙에 성공했을까.2010년에 달로 발사한 탐사선 창어2호의 공이 크다. 창어2호는 선발대였다. 달의 원궤도를 1년 정도 돌면서 창어3호의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고, 섬너가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으며,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단백질 구조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3요소가 모두 갖추어졌다. 이제 단백질을 결정으로 만드는 일만 남았다. 섬너의 업적을 그냥 넘어가면 서운할 테니 덧붙이면, 1930년 소화효소인 펩신을 결정으로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