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적은 규모로 줄어든다. 그간 9월 북극 해빙은 꾸준히 줄어들었다.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가 운영하는 ‘지구 기후 변화: 행성의 바이털 사인(Global Climate Change: Vital Signs of the Planet)’ 사이트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1979년부터 매년 9월 북극 해빙 면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식물플랑크톤을 우주에서 바라보는 이유다. 우리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지구관측시스템 및 정보시스템(EOSDIS)을 구축하기 위해 운용 중인 테라(Terra), 아쿠아(Aqua) 등 해양관측위성에 탑재된 광학 카메라를 이용해 남극 바다의 색깔을 관측하고 있다. ... ...
[한페이지 뉴스] 파란 회오리바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회오리바람에서 파생된 ‘파란 회오리바람(blue whirl)’의 형성 원인을 밝혔다. 조셉 청
미국
메릴랜드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은 2016년 액체 탄화수소로 불꽃 회오리바람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실험을 진행하던 중 파란 회오리바람 현상을 발견했다. 파란색 고리 모양 불꽃이 토네이도처럼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대한 통찰력을 얻는 첫걸음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미국
에서 가장 큰 재단 중 하나인
미국
사이먼스 재단이 이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이들이 AI와 함께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 기대해보자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게놈 지도의 상당 부분은 사실상 빈 공간으로 남아있는 상태였다.2000년대 초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는 1세대보다 수천 배 빠른 2세대 DNA 해독 기술인 ‘차세대 염기서열시퀀싱(NGS·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개발했다. 하지만 반복서열의 염기서열을 채워 넣는 건 여전히 역부족이었다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생명체 중 하나지만 기후변화 때문에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어요. 이에 지난 4월 9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시민과학자들에게 해양 연구를 위해 게임을 해달라고 도움을 요청했어요. 게임과 산호가 무슨 관계기에 그러냐냐고요? NASA 에임스연구센터는 유체 렌즈 카메라로 전 세계 산호의 생태를 ... ...
[이달의 수학자] 한국이 제2의 고향이라는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교수는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소련을 떠났고, 한국인 수학자인 명효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수학과 교수의 추천으로 위스콘신대 교수가 됐습니다. 이런 혼란의 시기에도 연구의 끈을 놓지 않은 젤마노프 교수는 1991년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라는 난제를 해결해 또 한 번 세계적인 ... ...
[한페이지 뉴스] 갯가재 주먹의 힘은 나노결정에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만다. 최근 이런 강력한 주먹의 비밀이 한 꺼풀 더 벗겨졌다. 데이비드 키사일루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어바인) 재료과학및공학과 교수팀은 투과전자현미경(TEM)과 원자힘현미경(AFM)을 이용해 갯가재 집게발 표층의 성분과 미세구조를 관찰했다. 갯가재의 집게발은 단백질과 다당류로 ... ...
[한페이지 뉴스] 미래 식량문제, 바다가 답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산물 등 동물성 식품 생산량이 지금보다 최대 25% 증가해야 한다.크리스토퍼 코스텔로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환경과학경영대 교수팀은 바다가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1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 세계 4702개 야생어장(어업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를 뒤적이기 시작했다. 그러다 ‘오픈포즈(OpenPose)’라는 프로그램을 발견했다. 2017년
미국
카네기멜론대 연구팀이 개발한 오픈포즈는 영상 속에서 사람 몸의 뼈대와 얼굴 특징을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합성곱 신경망(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이다. CNN은 시각적 이미지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