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최초의 깃털은 과시용?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초기 공룡의 날개 깃털은 비행용이나 보온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과시용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과학원 척추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징 수이 연구팀은 두 ... 가는 3차 깃의 끝은 갈고리처럼 돼 있어 주변의 2차 깃이나 중심에 단단히 연결돼 보온이나 비행의
기능
을 한다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모델링과 실험을 통해 규명했습니다. 인 실리코 단백질 창의연구단은 단백질 구조와 그
기능
을 밝혀 신물질 개발 및 광우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하는 신약개발에 필요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자 합니다.인 실리코 단백질 창의연구단은 혁신적이고 독창적인 연구 활동을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단계라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시냅스에는 약 500~1000종의 단백질이 있는데
기능
의 일부만이라도 알려진 단백질이 30가지뿐이기 때문이다.김 단장은 “시냅스 분야에서 세계적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연구단을 지켜봐 달라”며 “그만큼 연구단이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는 뜻이기도 해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DNA 염기서열 부위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발견됐소. 이 얘기는 초파리의 발생에서 특정
기능
을 담당하는 유전자들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오.그런데 이후 사람과 같은 척추동물에서도 이 호메오박스가 발견됐소. 이 얘기를 풀이하면 모든 호메오박스 유전자들은 공동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능
을 향상시킨다고 ‘미국피부연구학회지’에 보고했다. 최 교수는 “이는 피부장벽
기능
이 현저히 떨어져 있고 피부감염에 취약한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왜 자외선B의 조사가 증상을 호전시키는 지를 설명하는 증거”라고 말했다.그렇다면 겨울철엔 어떻게 햇빛을 쬐면 좋을까? 아주 추운 날이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전체 화학반응을 이해해야 한다.효소의 화학반응에서 생성되는 중간체의 형태와
기능
을 알지 못하는 것은 마치 미로에서 입구와 출구는 알고 있지만 중간에 어떤 과정을 거쳐서 미로를 벗어나야 하는지 알지 못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한국 과학계 위상 높인 스타 과학자2000년 ... ...
휴대전화 가볍게 만드는 스마트케이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데이터 전송과 배터리 충전
기능
뿐 아니라 카드 리더기, USB메모리까지 4가지
기능
을 하나로 모은 ‘팔방미인’이다.스마트케이블로 휴대전화나 mp3 플레이어, PMP를 USB 포트에 연결하면 음악이나 사진, 동영상 같은 데이터를 컴퓨터로 옮기거나 반대로 컴퓨터에서 멀티미디어 기기로 옮길 수 있다.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다윈은 지적이지도 않으며 의도하지도 않은 자연선택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생명체에
기능
과 형태를 창조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어떤 이들은 이런 다윈적 사고가 멋지고 아름다운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는 반면, 또 한쪽에선 자존감을 위협한다고 생각한다. 후자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그들 스스로를 ... ...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팔방미인’ 휴대전화는 더 이상 새로이 확장할
기능
이 없어지면서 제조업체는 통화 품질 업그레이드에서 그 돌파구를 찾았다.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영상통화도 소음제거 기술에 힘을 실었다.통신 사업자가 소음제거 기술을 도입하는데 앞장선 측면도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해하려면 우리 몸을 이루는 수많은 단백질이 어떻게 생겼으며, 그 구조가 바뀌면서
기능
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야 한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는 수조 분의 1초 사이에 일어나는 단백질의 변형과정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다차원분광기’를 개발했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