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연섬유의 변신은 무죄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 과장은 “동물성 섬유인 실크는 발린이나 로이신 같은 필수 아미노산과 여러 가지
기능
성 아미노산이 골고루 함유된 영양덩어리”라며 “피브로인 섬유의 70%를 이루는 글리신과 알라닌은 혈중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춰 뇌졸중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 ...
악 소리 나는 고통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의 ‘
기능
교합 수복 센터’에서 한국 교정의사로는 처음으로 교육을 받았다. 이 센터는 미국의 저명한 교합학자이자 교정의사인 로날드 로스와 로버트 윌리암스가 설립했다. 고려대 치의학대학원과 한림대 의대에서 ... ...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 물질은 정보를 처리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을 제어하지 못한다. 이 발견은 두뇌의 계산
기능
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우도록 디자인하는 ‘PKM제타 삭제’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PLoS 생물학’ 잡지의 최근 호에 상세히 실렸는데, 논문 제목은 ‘공간과 도구,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세피아란 용어가 쓰이는데 사진이 오래돼 변색된 것 같은 효과를 의미한다. 다양한
기능
을 지닌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세피아 모드’로 사진을 찍어 한껏 멋을 낼 수 있다.한편 오징어먹물은 우리나라에서도 색소로 쓰였다. 얼마 전 끝난 드라마 ‘바람의 화원’의 동명 원작 소설을 보면 “오징어 ... ...
한겨울 몸값 치솟는 비타민 D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능
을 향상시킨다고 ‘미국피부연구학회지’에 보고했다. 최 교수는 “이는 피부장벽
기능
이 현저히 떨어져 있고 피부감염에 취약한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왜 자외선B의 조사가 증상을 호전시키는 지를 설명하는 증거”라고 말했다.그렇다면 겨울철엔 어떻게 햇빛을 쬐면 좋을까? 아주 추운 날이 ... ...
휴대전화 가볍게 만드는 스마트케이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데이터 전송과 배터리 충전
기능
뿐 아니라 카드 리더기, USB메모리까지 4가지
기능
을 하나로 모은 ‘팔방미인’이다.스마트케이블로 휴대전화나 mp3 플레이어, PMP를 USB 포트에 연결하면 음악이나 사진, 동영상 같은 데이터를 컴퓨터로 옮기거나 반대로 컴퓨터에서 멀티미디어 기기로 옮길 수 있다.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DNA 염기서열 부위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발견됐소. 이 얘기는 초파리의 발생에서 특정
기능
을 담당하는 유전자들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오.그런데 이후 사람과 같은 척추동물에서도 이 호메오박스가 발견됐소. 이 얘기를 풀이하면 모든 호메오박스 유전자들은 공동 ... ...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팔방미인’ 휴대전화는 더 이상 새로이 확장할
기능
이 없어지면서 제조업체는 통화 품질 업그레이드에서 그 돌파구를 찾았다.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영상통화도 소음제거 기술에 힘을 실었다.통신 사업자가 소음제거 기술을 도입하는데 앞장선 측면도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전체 화학반응을 이해해야 한다.효소의 화학반응에서 생성되는 중간체의 형태와
기능
을 알지 못하는 것은 마치 미로에서 입구와 출구는 알고 있지만 중간에 어떤 과정을 거쳐서 미로를 벗어나야 하는지 알지 못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한국 과학계 위상 높인 스타 과학자2000년 ... ...
유도다
기능
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버드대 케빈 이건 박사팀은 루게릭병 환자 2명의 피부세포를 유전자 조작해 유도다
기능
줄기세포(iPS)로 만든 뒤, 이를 다시 운동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iPS는 환자 피부세포로 만들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이 없다. 또 난자를 사용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문제를 피해갈 수 있어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