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과
과상 돌기
복사뼈
국
속
학부
전공
d라이브러리
"
과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유학을 처음 생각한 것은 학부 2학년 가을. 나는 평점이 꽤 좋은 상태여서
과
기원 석사
과
정에 진학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다 싶었다. 그래서 나의 생활은 매우 불규칙했고 공부는 한 수 접어논 상태였다. 그런 생활을 2학년 내내 하고나니 내 자신이 한심해 보였다. 그 때 새로운 목표로 정한것이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만들어 쓰고 있다. 또 두 장의 문서를 A4용지 한 장에 인쇄할 수 있어 종이를 아끼는 효
과
도 보고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매혹적인 기능은 특정한 상황에서 이러 이러한 기능을 써보라고 조언을 해주는 팁 마법사 기능이 들어 있다는 점이다. 팁 마법사 기능 때문에 필자는 제품을 구입한 이후로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키우며 고정적인 계급사회에서 벌어지는 업무의 융통성에 관해 연구했다. 그의 실험 결
과
에 따르면 어느 특정한 계급의 일개미 수가 줄면 즉시 다른 계급의 일개미들이 문제가 생긴 작업 현장에 투입돼 업무를 계속한다.그러나 업무 변경이 심할 경우, 예를 들어 밖에서 전투나 토목사업에 종사하던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과
일 그림에 마우스를 놓고 이리저리 움직여본다.화면 2-7. 혹시 잘못 칠해졌으면 하얀
과
일을 선택하고 마우스를 움직이면 지워진다.화면 2-8. 붓의 굵기를 좀 더 굵게 하려면 아래에 있는 세 마리 벌레 중 맨 왼쪽 벌레를 마우스로 누른 다음 색을 칠한다. 훨씬 굵게 붓자국이 날 것이다. 반대로 가늘게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공포의 심리가 피해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그런데 지적인 외계 생명체는
과
연 존재할까. 사실 이 점에 대해선 아직도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환경에 따라 그 환경에 맞게 신진대사를 하는 생명체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또 칼 세이건은 그의 저서 ... ...
3. '법없는 세상' 자율통제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공개적으로 지움으로써 질서를 유지할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다.이러한
과
정을 통해 가상공간은 인류' 제2의 생활 공간' 으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가상공간에서 사람들의 자정능력은 충분히 믿을만한 수준에 있는 것 같다. 통신망 상의 자율통제는 가능하다고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페니실린 G)은 내성균주에 잘 듣지 않았고 주사로만 투여해야 했으며 제한된 균주에만 효
과
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페니실린의 일부 구조를 바꾼 암피실린 클록사실린 아목시실린 등의 반합성 페니실린이 1960년대부터 시장에 나왔다.용어설명라이소자임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나타나는 알레르기성 피부를 말한다. 보통의 습진이나 피부염
과
는 달리 특이한 증세와 경
과
를 보인다. 소아습진의 70-80%는 이 습진이라고 한다. 연령에 따라 증세의 변화를 보이기도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혈안이 된 사람들을 모두 공개 마당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면, 욕설
과
외설
과
무책임으로 오염된 PC통신에서도 좀더 정제된 견해와 정보의 교환이라는 PC통신 본래의 미덕이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다 ... ...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사람의 목소리는 성대 자체보다 공명기관에서 울려 귀에 들린다. 따라서 공명기관의 모양
과
크기가 중요하다. 가장 큰 구강을 비롯해 비강 인두강 등 머리 전체에 8개의 공명강이 있다. 이 공명강에 고름 같은 이물질이 차는 현상이 축농증이다 ... ...
이전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다음
공지사항